얼마 전 어느 모임에서다. 멤버 가운데 호형호제로 지내던 두 사람이 갑자기 얼굴을 붉히며 목소리를 높인다. 분위기가 썰렁해진다. 두 사람의 언쟁에 모두 귀를 쫑긋 세운다. 내용인즉슨 형님뻘 되는 사람은 평소 동생한테 뭐든 내 일처럼 챙기고 도와줬는데 진작 어려운 일이 하나 생겨 부탁하니까 성의 없이 대하더라는 것이다. 동생뻘 되는 사람은 자신의 능력 밖인 걸 어떻게 해결하느냐는 것이다. 두 사람은 식사 도중에 말없이 가 버렸다.
남은 사람끼리 한잔 더 마셨다. 두 사람의 다툼이 누구에게나 있을 수 있는 일이기에 대화는 진지했다. 상대방에 대한 의지와 기대가 높은 데 따른 ‘마음의 간극’이라는 얘기가 주류였다.
귀갓길에 ‘마음의 간극’을 다시 떠올렸다. 누구든 나 아닌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전후 관계를 잘못 파악하거나 상대방을 너무 높게 또는 낮게 평가하면서 오해라는 게 생긴다. 그건 금방 풀릴 수 있다. 문제는 서로 상대방한테서 진정성을 발견하지 못할 때다. 이건 신뢰의 문제여서 고난도다. 나를 위해 상대방과 관계를 유지했는지 그 반대인지는 자신만은 잘 알고 있을 터다. 다음 모임 때 두 사람은 무슨 말을 꺼낼까.
주병철 논설위원 bcjoo@seoul.co.kr
남은 사람끼리 한잔 더 마셨다. 두 사람의 다툼이 누구에게나 있을 수 있는 일이기에 대화는 진지했다. 상대방에 대한 의지와 기대가 높은 데 따른 ‘마음의 간극’이라는 얘기가 주류였다.
귀갓길에 ‘마음의 간극’을 다시 떠올렸다. 누구든 나 아닌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전후 관계를 잘못 파악하거나 상대방을 너무 높게 또는 낮게 평가하면서 오해라는 게 생긴다. 그건 금방 풀릴 수 있다. 문제는 서로 상대방한테서 진정성을 발견하지 못할 때다. 이건 신뢰의 문제여서 고난도다. 나를 위해 상대방과 관계를 유지했는지 그 반대인지는 자신만은 잘 알고 있을 터다. 다음 모임 때 두 사람은 무슨 말을 꺼낼까.
주병철 논설위원 bcjoo@seoul.co.kr
2015-09-01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