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풍이 잔뜩 들어 있는 현실성이 떨어지는 상태를 ‘부황하다’라고 한다. 1940년대 이기영의 장편소설 ‘봄’에도 등장하는 단어이건만 표준국어대사전에는 표준어가 아니고, 북한말로 돼 있다. 어릴 때는 대체로 부황한 꿈을 많이 꾼다. “대통령이 되겠다”거나 “아인슈타인 같은 세계적인 과학자가 되겠다”고 한다. 청소년기를 거치면서 평범한 성적이면 교사나 소방관, 공무원으로 낮아지고, 성적이 좋으면 판검사나 변호사, 정치인, 의사 등으로 정리되곤 했다.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은 민주당 대통령 후보에 나서면서 미국인의 영웅인 케네디 대통령과 학생 때 백악관에서 찍은 사진을 공개하면서 ‘백악관의 주인’에 대한 오랜 꿈을 밝힌 적이 있다.
개항기 일본을 제국주의 국가로 전환한 배후에 ‘요시다 쇼인’이라는 인물이 있다. 1945년 일본이 패망할 당시의 영토와 19세기 중엽 요시다가 그려 준 밑그림이 거의 같다. 일본 지식인 중에 ‘일본이 몸에 맞지 않는 대국의 꿈을 꾸는 바람에 곤란을 겪었다’는 사람도 있지만, 조선시대 이래 ‘소국의식’에 젖어 산 한국은 어떤 나라가 되겠다는 야망도 없이 근시안적인 목표에 매달리는 것 같아 답답하다.
문소영 논설위원 symun@seoul.co.kr
개항기 일본을 제국주의 국가로 전환한 배후에 ‘요시다 쇼인’이라는 인물이 있다. 1945년 일본이 패망할 당시의 영토와 19세기 중엽 요시다가 그려 준 밑그림이 거의 같다. 일본 지식인 중에 ‘일본이 몸에 맞지 않는 대국의 꿈을 꾸는 바람에 곤란을 겪었다’는 사람도 있지만, 조선시대 이래 ‘소국의식’에 젖어 산 한국은 어떤 나라가 되겠다는 야망도 없이 근시안적인 목표에 매달리는 것 같아 답답하다.
문소영 논설위원 symun@seoul.co.kr
2015-07-18 2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