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친상을 당한 지인으로부터 문자가 왔다. 조문과 따뜻한 위로에 감사하다는 내용이다. 사진 한 장도 첨부됐다. 삐뚤빼뚤 글씨체가 마치 초등학생이 쓴 듯한 ‘가을’이라는 제목의 시(詩)다. ‘단풍을 보면 가을이 온다/오곡이 익으면 가을이 온다/추석이 오면 가을이 온다/겨울이 오면 가을은 간다’ 일상의 언어로 가을이 오고 감을, 아니 세월이 지나감을 담백하게 그려 낸 이 시구 옆에는 단풍잎이 붙여져 있다.
이 시는 지인의 어머니가 93세 되던 해 가을 힘든 재활 과정에서 떨리는 손으로 쓰신 것이라고 한다. 평소 유려한 필력과 단아한 글씨체는 잃어버리셨지만 당시 심경을 담아 한 글자씩 힘들게 쓰신 것이라고 했다. 어머니를 여의고 한없는 슬픔에 잠긴 아들의 마음이 어머니의 시 한 수로 절절하게 표현된 것 같아 마음이 먹먹해졌다.
문상 시 잘 아는 고인이야 이런저런 마음이 들지만 지인의 가족상일 때는 사실 망자(亡者)보다는 유가족에 대한 예의에 더 신경 쓰기 마련이다. 그러니 고인이 어떤 분인지에 대해서는 별 관심을 두지 않게 된다. 하지만 이번 문자 한 통으로 잘 모르는 고인에 대한 진정한 조문의 의미를 되새기게 된다.
최광숙 논설위원 bori@seoul.co.kr
이 시는 지인의 어머니가 93세 되던 해 가을 힘든 재활 과정에서 떨리는 손으로 쓰신 것이라고 한다. 평소 유려한 필력과 단아한 글씨체는 잃어버리셨지만 당시 심경을 담아 한 글자씩 힘들게 쓰신 것이라고 했다. 어머니를 여의고 한없는 슬픔에 잠긴 아들의 마음이 어머니의 시 한 수로 절절하게 표현된 것 같아 마음이 먹먹해졌다.
문상 시 잘 아는 고인이야 이런저런 마음이 들지만 지인의 가족상일 때는 사실 망자(亡者)보다는 유가족에 대한 예의에 더 신경 쓰기 마련이다. 그러니 고인이 어떤 분인지에 대해서는 별 관심을 두지 않게 된다. 하지만 이번 문자 한 통으로 잘 모르는 고인에 대한 진정한 조문의 의미를 되새기게 된다.
최광숙 논설위원 bori@seoul.co.kr
2015-06-03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