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보다가 ‘개수대에서 고양이 세수를 했다’는 구절을 보고 “무슨 뜻인지 아냐”며 설거지하던 아내에게 물었다. 들은 듯 만 듯 가물가물했다. “싱크대 세수지 뭐야.” 싱겁게 답이 왔다. 그 공간이 여자의 샘터 같은 곳이니 남자보다는 더 알 거고…. 옆에 있던 사전을 들었다. 한자어로 개수대(改水臺). 물로 씻는다는 뜻의 설거지대다. 개숫물이란 말도 있는데 수돗물에 자리를 내준 지 오래다. 뜻을 제대로 몰랐던 이유는 따로 있다. 옛 시골에서는 집안 우물가에서 그릇을 씻었으니 개수대란 말을 쓸 일이 별로 없었다. 문화의 차이다.
외벌이 집안의 일은 항시 아내 몫이다. 맞벌이 집에는 상차림과 설거지 등 ‘개수대 앞 질서’가 있다지만 얼씬을 못해 봤다. 라면을 하나 끓이려 해도 득달같이 다가서 막아선다. 설거지가 많아진다는 것이 이유다. 직접 끓여 먹는 게 라면 맛 아닌가. 그곳은 ‘무단 접근금지 구역’이고 들어서면 분명 ‘내정간섭’이다. 외진 도린곁 같은 공간, 개수대 초행길은 언제 열릴 건가. 거친 말이 오가는 요즘 한자어일지언정 ‘개수대’를 만난 건 반갑다. 설거지와 청소의 뜻엔 소제(掃除)도 있다. “방 소제 좀 해라.” 어릴 적에는 자주 듣고 썼다.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외벌이 집안의 일은 항시 아내 몫이다. 맞벌이 집에는 상차림과 설거지 등 ‘개수대 앞 질서’가 있다지만 얼씬을 못해 봤다. 라면을 하나 끓이려 해도 득달같이 다가서 막아선다. 설거지가 많아진다는 것이 이유다. 직접 끓여 먹는 게 라면 맛 아닌가. 그곳은 ‘무단 접근금지 구역’이고 들어서면 분명 ‘내정간섭’이다. 외진 도린곁 같은 공간, 개수대 초행길은 언제 열릴 건가. 거친 말이 오가는 요즘 한자어일지언정 ‘개수대’를 만난 건 반갑다. 설거지와 청소의 뜻엔 소제(掃除)도 있다. “방 소제 좀 해라.” 어릴 적에는 자주 듣고 썼다.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2015-02-17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