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이니셜 정치/정기홍 논설위원

[길섶에서] 이니셜 정치/정기홍 논설위원

입력 2015-02-09 23:52
수정 2015-02-09 23: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정치인 이름이 영문 이니셜(약칭)로 통칭된 것은 ‘3김 시대’부터다. 김영삼은 YS, 김대중은 DJ, 김종필은 JP다. 계파 정치의 산물이고 ‘권력 수장’의 분위기도 풍기는 일종의 포장이다. 개중엔 발음이 입에 붙지 않아 널리 쓰이지 않은 경우도 있다. HC(이회창)와 MJ(정몽준), DY(정동영) 등이 그 범주에 속한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도 ‘무대’(무성대장) 말고 ‘MS’로 불러 달라고 했다지만 통용되지 않고 있다.

달리 박정희나 전두환, 노태우, 노무현 등 전직 대통령은 이니셜로 부르지 않았다. 어른의 이름에 영문 약자를 함부로 붙여선 안 된다는 의중이 담겨 있는 것 아닌가 싶다. 박근혜 대통령도 마찬가지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이니셜 정치인과 같은 급이 되기 싫어했다는 말도 있다.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도 이니셜이 있는 듯 없는 듯하다. 문 대표가 그제 당내 ‘계파 갈등’ 청산을 언급하며 ‘계’자의 첫머리를 따 “기역자(字)도 안 나오게 하겠다”고 밝혔다. ‘친노’와 ‘비노’ 간의 알력을 없애겠다는 다짐을 이니셜을 따 에둘러 한 말이다. ‘낫놓고 기역자도 모른다’는 말처럼 국민들로선 계파 갈등의 계자를 모르는 게 낫다. ‘개꼬리 삼 년 두어도 황모 못 된다’고는 하지만.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2015-02-10 31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북특별자치도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가능할까?
전북도가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도전을 공식화했습니다. 전북도는 오래전부터 유치를 준비해 왔다며 자신감을 보였지만 지난해 ‘세계잼버리’ 부실운영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은 상황이라 유치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전북도의 올림픽 유치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가능하다
불가능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