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에게 들은 이야기다. 하루는 자기 회사 사장이 간부들을 대상으로 갑자기 회식 모임을 공지했다. 회식 자리에 가서야 긴급 소집 이유가 ‘사내 소통 부재’라는 것을 알았다. 사장은 저녁 식사 중 시종일관 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참석자들은 한 시간 넘게 사장의 주입식 소통 강의를 들어야 했다. 사장의 말에 그 누구도 참견하거나 반박하는 사람이 없었다. 그럼 이 회사는 이 후로 소통이 잘됐을까. 물론 아니다. 제대로 된 소통은 서로 공감의 과정을 거치는 쌍방향 회로와 비슷하다. 간부들은 사장 앞에서 ‘지당한 말씀’이라는 듯 끄덕끄덕 동의를 표했지만 뒤돌아서는 피식 웃고 말았다고 한다.
그 친구는 말한다. 그날 사장은 사내 소통이 안 되는 문제에 대해 간부들의 의견을 먼저 들었어야 했다고. 소통을 잘해야 한다고 일방적으로 강조하는 것은 험악한 인상을 쓰며 앞으로 잘 지내자고 하는 것과 같은 이치라고. 회의도 일종의 소통의 장인데 받아 적기 바쁜 회의는 주재자의 일방적 강의로 끝나기 십상이다. 회의록에 빼곡하게 적힌 것은 많을지 몰라도 정작 소통과 공감이라는 알맹이는 빠져 있다. 성과를 기대하는 것이 이상하다.
오일만 논설위원 oilman@seoul.co.kr
그 친구는 말한다. 그날 사장은 사내 소통이 안 되는 문제에 대해 간부들의 의견을 먼저 들었어야 했다고. 소통을 잘해야 한다고 일방적으로 강조하는 것은 험악한 인상을 쓰며 앞으로 잘 지내자고 하는 것과 같은 이치라고. 회의도 일종의 소통의 장인데 받아 적기 바쁜 회의는 주재자의 일방적 강의로 끝나기 십상이다. 회의록에 빼곡하게 적힌 것은 많을지 몰라도 정작 소통과 공감이라는 알맹이는 빠져 있다. 성과를 기대하는 것이 이상하다.
오일만 논설위원 oilman@seoul.co.kr
2015-02-05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