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끄적여 놓고 팽개쳤던 메모 글들을 찾아 읽었다. 그중 눈에 띈 주제가 ‘만약에’와 ‘말입니다’다. ‘만약에’의 글은 스쳤던 개인 생각을 모아 썼고, ‘말입니다’는 남의 글을 옮겨 적어 놓은 것이다. 둘 다 은연중에 자주 하는 말로 입에도 붙어 있다. 사전의 뜻으로 ‘만약(에)’은 가정과 경우의 수가 전제로 깔려 있다. ‘말입니다’는 군대 은어다. 각을 세우는 군대에서 끝말에 ‘요’를 못 쓰게 하고 ‘다’와 ‘까’로 통일하니 파생한 문구다. 주로 하급자가 상급자에게 써 예의를 갖춘다는 의미가 담겼다. 문법에는 맞지 않은 어구다.
‘말입니다’는 시집 서문에서 뽑아서인지 글맛을 당긴다. ‘큰 길 말고 말입니다. 뒤로 가면 아무렇게 난 한적한 오솔길이 있다 말입니다. 그 작은 길에 큰 소나무가 있고, 그 아래에 딱 붙어 나는 작은 민들레가 있다 말입니다.’ 글쓴이의 의도처럼 호젓한 길에 홀로 자리 잡은 민들레를 귀하게 만든 게 이어진 ‘말입니다’가 아닌가 싶다. 그런데 둘은 말로는 제값을 못 받는 것 같다. 말에 전제가 있으면 부정 이미지가 끼고, 말투에 덧대면 군더더기가 돼 듣기에 거북하다. 가시지 않은 글맛 뒷끝에 중얼거린다. “만약에 말입니다.” 글맛과 말맛은 다르다.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말입니다’는 시집 서문에서 뽑아서인지 글맛을 당긴다. ‘큰 길 말고 말입니다. 뒤로 가면 아무렇게 난 한적한 오솔길이 있다 말입니다. 그 작은 길에 큰 소나무가 있고, 그 아래에 딱 붙어 나는 작은 민들레가 있다 말입니다.’ 글쓴이의 의도처럼 호젓한 길에 홀로 자리 잡은 민들레를 귀하게 만든 게 이어진 ‘말입니다’가 아닌가 싶다. 그런데 둘은 말로는 제값을 못 받는 것 같다. 말에 전제가 있으면 부정 이미지가 끼고, 말투에 덧대면 군더더기가 돼 듣기에 거북하다. 가시지 않은 글맛 뒷끝에 중얼거린다. “만약에 말입니다.” 글맛과 말맛은 다르다.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2015-01-15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