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연말부터 엽기적 사건이 속출하고 있다. ‘땅콩 회항’ 사건을 비롯해 아파트 경비원 분신 사건과 백화점 주차장에서 모녀 고객이 주차원을 무릎 꿇게 한 사건 등이 대표적이다. 사건의 경위는 더 규명해 봐야겠지만, 우리 사회 ‘갑’(甲)들의 감정조절 실패와 무관치 않아 보인다. 이로 인해 이른바 감정 노동자인 피해자들도 엄청난 트라우마를 겪게 돼 결국 갑과 을 모두에게 불행한 사태다. 전문가의 진단처럼 극심한 스트레스와 경제·사회적 불공정성이 21세기 한국 사회를 울분, 혈기의 분출이 가득한 거대 ‘울혈(鬱血) 사회’로 만들었다면 보통 문제가 아니다.
정초에 읽은 한 심리학자가 쓴 글이 그럴싸했다. 야구나 골프 경기가 관중뿐만 아니라 선수 본인에게도 재미있는 건 잘했든 잘못했든 한 이닝이나 홀을 끝내고 늘 새로운 기분으로 다른 이닝과 홀을 시작할 수 있기 때문이란다. 이 비유에서 ‘울혈 사회’를 완치할 사회적 해법은 아닐지라도 개인의 정서적 치유법은 될 법한 단서를 찾았다. 안 좋은 기억들은 훌훌 털어내 묵은 해를 매듭짓고 새해를 시작하는 게 정신 건강에도 좋지 않겠는가 하는. 대나무가 매듭을 지으면서 성장하듯이 말이다.
구본영 논설고문 kby7@seoul.co.kr
정초에 읽은 한 심리학자가 쓴 글이 그럴싸했다. 야구나 골프 경기가 관중뿐만 아니라 선수 본인에게도 재미있는 건 잘했든 잘못했든 한 이닝이나 홀을 끝내고 늘 새로운 기분으로 다른 이닝과 홀을 시작할 수 있기 때문이란다. 이 비유에서 ‘울혈 사회’를 완치할 사회적 해법은 아닐지라도 개인의 정서적 치유법은 될 법한 단서를 찾았다. 안 좋은 기억들은 훌훌 털어내 묵은 해를 매듭짓고 새해를 시작하는 게 정신 건강에도 좋지 않겠는가 하는. 대나무가 매듭을 지으면서 성장하듯이 말이다.
구본영 논설고문 kby7@seoul.co.kr
2015-01-10 2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