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집은 무엇보다 맛이 있어야 한다. 두 번째는 음식값이다. 맛은 괜찮아도 호된 값을 치르고 나면 기분이 상한다. 우리 같은 서민만 그런 게 아니라 밥값 정도는 아끼지 않을 것 같은 친구들도 다르지 않다고 한다. 세 번째로 이런 집에 독특한 역사나 이야기까지 있으면 발걸음은 더욱 잦아진다.
이화여대 앞 만두집에 갔다. 주인 혼자 주방과 서빙을 해결하는 작은 집이다. 입맛을 좀 안다는 동료들이 자기들끼리 다니다 뒤늦게 비밀 털어놓듯 데려간 것이다. 화상(華商)이라고 써 붙였으니 주인은 당연히 중국 사람이겠다. 그런데 중국집 분위기를 내는 대신 만두집이라고 강조해 놓았다.
역시 만두가 맛있다. 음식값도 매우 싸다. 주방 너머 주인과의 대화도 재미있다. 부모님은 중국집을 했지만 그게 싫었다고 한다. 하지만 여러 가지 일을 하다 늦은 나이에 음식점을 다시 할 줄 알았으면 그때 잘 배워 둘 걸 하는 후회가 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안주로 시킨 깐풍기 맛은 조금 아마추어 솜씨인가?’ 하는 생각을 하면서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역사는 짧아도 ‘스토리’를 만들어 낼 줄 알았다. 소박한 대로 ‘삼박자’가 맞는 밥집이었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이화여대 앞 만두집에 갔다. 주인 혼자 주방과 서빙을 해결하는 작은 집이다. 입맛을 좀 안다는 동료들이 자기들끼리 다니다 뒤늦게 비밀 털어놓듯 데려간 것이다. 화상(華商)이라고 써 붙였으니 주인은 당연히 중국 사람이겠다. 그런데 중국집 분위기를 내는 대신 만두집이라고 강조해 놓았다.
역시 만두가 맛있다. 음식값도 매우 싸다. 주방 너머 주인과의 대화도 재미있다. 부모님은 중국집을 했지만 그게 싫었다고 한다. 하지만 여러 가지 일을 하다 늦은 나이에 음식점을 다시 할 줄 알았으면 그때 잘 배워 둘 걸 하는 후회가 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안주로 시킨 깐풍기 맛은 조금 아마추어 솜씨인가?’ 하는 생각을 하면서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역사는 짧아도 ‘스토리’를 만들어 낼 줄 알았다. 소박한 대로 ‘삼박자’가 맞는 밥집이었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4-12-06 2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