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개발이 성해 투자 붐이 일 때 ‘준(準)복부인’이 있었다. 복부인이야 투기로 돈깨나 만진 아줌마이지만 이들은 숨은 존재였다. 동네 골목길의 물건을 찾아 훑는 아줌마 투기동아리쯤 된다. 돈 흐름을 잘 아는 은행원 출신이 많았다. 이들은 아침 밥상을 물린 뒤 짬을 내 눈여겨보았던 곳을 찾아 나선다. 전문 투기꾼은 아니지만 골목 정보를 금방 알아내 소문이 퍼지기 전에 낚아챈다. 수시로 사업 진행 상황도 확인해 성공 확률이 높은 편이다. 아파트 한채 값을 번 경우도 있었다고 들었다. 집안일을 하면서 발품을 판 생활밀착형 투기인 셈이다.
의외이지만 투기(投機)란 단어는 본래 무소유의 깨우침을 강조하는 불교 용어다. ‘마음을 열고 몸을 던져 부처님의 깨달음을 얻는다’는 뜻인데 지금은 ‘돈을 던져 기회를 잡는다’로 바뀌어 쓰이고 있다. 집 근처에 대규모 마곡지구 개발이 한창이다. 출퇴근 때 원룸 투자를 권하는 전단을 자주 받는다. 투자를 할까 말까, 남을까 손해 볼까. 마음은 머뭇거린다. 부처님은 뭐라 할까. 물욕에 물들지 마라고 머리를 두어대 쥐어 박을까. 사는 게 지나는 찰나(刹那)이긴 하다.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의외이지만 투기(投機)란 단어는 본래 무소유의 깨우침을 강조하는 불교 용어다. ‘마음을 열고 몸을 던져 부처님의 깨달음을 얻는다’는 뜻인데 지금은 ‘돈을 던져 기회를 잡는다’로 바뀌어 쓰이고 있다. 집 근처에 대규모 마곡지구 개발이 한창이다. 출퇴근 때 원룸 투자를 권하는 전단을 자주 받는다. 투자를 할까 말까, 남을까 손해 볼까. 마음은 머뭇거린다. 부처님은 뭐라 할까. 물욕에 물들지 마라고 머리를 두어대 쥐어 박을까. 사는 게 지나는 찰나(刹那)이긴 하다.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2014-10-04 2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