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 면 소재지 중국집 간판에 ‘들밥 배달’이라고 적혀 있는 것을 본 적이 있다. 농촌에서도 모내기며 벼 베기를 할 때 중국집에서 짜장면을 시켜먹는다더니 그 얘기인가보다 하고 웃었다. 그렇지 않아도 농촌에서 젊은이를 찾아보기 어려운데 들밥을 지어 들녘으로 나르라고 한다면 몇 남지 않은 며느리조차 줄지어 도망갈 판이다.
얼마 전 찾은 서울 홍대 앞의 작은 식당은 바로 그 들밥이 콘셉트였다. 큼직한 채반에 돼지불고기와 상추쌈, 된장찌개, 제철나물을 담아 내는 집이었다. 제법 들밥의 재미를 느낄 수 있기 때문인지 가게는 손님으로 북적거렸다. 농촌에서는 사라져 가는 들밥이 도시민, 그것도 젊은 세대의 환영을 받고 있는 것은 흥미로운 일이었다.
들밥을 먹으며 희미하게 생각나는 게 있었다. 깊은 정감이 느껴졌던 고려시대 문인 안축(安軸)의 한시(漢詩)였다. 돌아와 다시 찾아 읽었다. 이런 일도 다시는 없을 것 같다.
농사일 새참 준비에 아낙은 끼니 거르고 / 새벽부터 마음은 벌써 여름 밭에 가 있구나 / 한낮 새참 이고서 밭으로 가는 길 재촉하여 / 낭군 배불리 먹이니 신이 나서 돌아가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얼마 전 찾은 서울 홍대 앞의 작은 식당은 바로 그 들밥이 콘셉트였다. 큼직한 채반에 돼지불고기와 상추쌈, 된장찌개, 제철나물을 담아 내는 집이었다. 제법 들밥의 재미를 느낄 수 있기 때문인지 가게는 손님으로 북적거렸다. 농촌에서는 사라져 가는 들밥이 도시민, 그것도 젊은 세대의 환영을 받고 있는 것은 흥미로운 일이었다.
들밥을 먹으며 희미하게 생각나는 게 있었다. 깊은 정감이 느껴졌던 고려시대 문인 안축(安軸)의 한시(漢詩)였다. 돌아와 다시 찾아 읽었다. 이런 일도 다시는 없을 것 같다.
농사일 새참 준비에 아낙은 끼니 거르고 / 새벽부터 마음은 벌써 여름 밭에 가 있구나 / 한낮 새참 이고서 밭으로 가는 길 재촉하여 / 낭군 배불리 먹이니 신이 나서 돌아가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4-09-12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