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찌기는 삼을 수증기로 찌는 작업인데, 표준어로 ‘삼굿’이라고 한다. 최근 경북 안동과 강원 정선에서 삼 수확철을 맞아 전통 삼베옷을 생산하는 전 과정을 재현해 새삼스러웠다. 삼을 삶는 화덕(일부 지방은 토담 건물)은 옛 시골서도 보기 힘든 풍경이어서 기억을 더듬어 짜맞춰 보았다. 키가 큰 삼을 벤 뒤 쪄낸 삼을 말리고, 껍질도 벗기고…. 그다음의 베 날기, 베 매기 등은 도통 이해가 불가하다. 그나마 또렷한 것은 아낙네들이 치마를 무릎 위로 걷어올린 채 온종일 무릎에다 삼을 비비는 등의 길쌈 모습이다.
삼은 대마(大麻)다. 한때 연예인들이 대마초를 환각제로 피운다는 데 놀랐던 적이 있었다. 당시 연세 지긋한 어르신들은 찐 대마잎을 말려 담뱃대에 꾹꾹 누른 뒤 연신 연기를 피워댔다. 기분이 얼마나 황홀했을까. 우려스러운 일은 언제나 없었다. 대마초도 마음의 쓰임새에 따라 약도 되고 마약도 될까. 대마가 명품 안동포의 재료가 되고, 대마초로도 변모하는 것처럼. 사라질 뻔한 것을 지켜내는 이들에게 고마움을 느낀다. 덩달아 하얀 속살을 드러낸 삼대를 묶어 세워 둔 곳에서의 신났던 놀이도 떠올랐다. 숨바꼭질!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삼은 대마(大麻)다. 한때 연예인들이 대마초를 환각제로 피운다는 데 놀랐던 적이 있었다. 당시 연세 지긋한 어르신들은 찐 대마잎을 말려 담뱃대에 꾹꾹 누른 뒤 연신 연기를 피워댔다. 기분이 얼마나 황홀했을까. 우려스러운 일은 언제나 없었다. 대마초도 마음의 쓰임새에 따라 약도 되고 마약도 될까. 대마가 명품 안동포의 재료가 되고, 대마초로도 변모하는 것처럼. 사라질 뻔한 것을 지켜내는 이들에게 고마움을 느낀다. 덩달아 하얀 속살을 드러낸 삼대를 묶어 세워 둔 곳에서의 신났던 놀이도 떠올랐다. 숨바꼭질!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2014-09-11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