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려서 학년으로 5년 위인 오빠랑 말싸움이 나면 엄마는 “그만 해라”고 했다. 초등학교 저학년이 중학생에게 대들었으니 형제간의 위계를 따져서 그랬을 것이다. 무엇보다 평화를 사랑하던 엄마는 집안에서 큰소리 나는 분쟁을 견딜 수가 없었다. 그러나 어린 마음에 그런 만류가 분했다. 말대꾸를 하다가 야단을 더 맞았다. 나중에 법대로 진학하라는 지청구도 들었다. 싸움의 원인이 무엇이고 누가 잘못했는지를 파악해, 그 잘못에 대해 책임을 지우고 가해자에게 사과를 시키면 되는 일이었다. 초등학생이라도 어지간하게 사리분별을 할 수 있는 나이가 됐으니 이런 과정을 거친 뒤 “오빠에게 미안하다고 하라”거나, 또는 “오빠가 잘못했으니 동생에게 사과하라”고 했으면 씩씩대고 분해서 서너 끼 밥을 굶는 등 소극적인 항의를 하지 않았을 것 같다.
중립과 공정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직업에 반평생 종사하지만, 불의(不義) 앞에서 중립은 공범에 가깝다고 판단한다. 여론이 나쁠 땐 중립인 척 가장했다가 핑계가 생기면 권력 편에 서서 하이에나처럼 헐뜯는 사람들이 있다. 그 꼴을 보자니 어린 시절의 분함이 솟구친다.
문소영 논설위원 symun@seoul.co.kr
중립과 공정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직업에 반평생 종사하지만, 불의(不義) 앞에서 중립은 공범에 가깝다고 판단한다. 여론이 나쁠 땐 중립인 척 가장했다가 핑계가 생기면 권력 편에 서서 하이에나처럼 헐뜯는 사람들이 있다. 그 꼴을 보자니 어린 시절의 분함이 솟구친다.
문소영 논설위원 symun@seoul.co.kr
2014-09-03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