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길의 한자 이름 ‘몽로’(夢路)를 발음하면 취한 듯 약간 몽롱한 기분이 든다. 초저녁 노을이 내려앉을 무렵 서울 마포구 서교동 출판사 ‘문학과지성사’ 지하에 자리 잡은 ‘몽로(夢路)’에 들어가 문어·골뱅이무침에 맥주 한 잔을 마시면 풍진세상을 뒤로할 만한 여유가 생길지도 모르겠다. 몽로는 생긴 지 얼마 안 된 음식점이지만, 호텔주방장을 거친 것도 아닌데 젊은 요리사들이 숭배하는 박찬일 셰프를 찾아오는 술 손님들로 북새통이다. 때론 예약이 안 돼서 낭패를 보기도 하고, 무작정 찾아갔다가 자리가 없어 어정쩡하게 기다리기도 한다. 박 셰프는 잡기사 기자를 하다가 어느 날 지중해로 훌쩍 떠나 요리를 배우고 돌아와 요리를 알리고 요리와 함께 살고 있다. 그는 20대 때 배운 취재 버릇을 버리지는 못해 부산·인천 등 지역의 음식문화를 정리하는 데 여러 차례 참여하기도 했다.
취기 어린 목소리들 사이로 영화 ‘화양연화’의 주제가(OST)가 쿵짝짝 쿵짝짝 흐르고, 발그스레한 볼들이 촉 낮은 불빛 아래서 반짝거리면 여기가 꿈길이다. 태풍이 지난 뜨거운 아스팔트를 걷다 보니 몽로로 훌쩍 떠나고 싶다.
문소영 논설위원 symun@seoul.co.kr
취기 어린 목소리들 사이로 영화 ‘화양연화’의 주제가(OST)가 쿵짝짝 쿵짝짝 흐르고, 발그스레한 볼들이 촉 낮은 불빛 아래서 반짝거리면 여기가 꿈길이다. 태풍이 지난 뜨거운 아스팔트를 걷다 보니 몽로로 훌쩍 떠나고 싶다.
문소영 논설위원 symun@seoul.co.kr
2014-07-28 2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