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엌의 선반 ‘살강’을 아는 이가 많지 않다. 사투리로 여기지만 시렁의 뜻, 표준말이다. 부엌의 벽에 대나무 발을 쳐 통풍이 되고 물기도 잘 빠져 그릇을 씻어 얹어두던 곳이다. 요즘의 음식이야 냉장고를 들고 나지만 옛 여름엔 식은 밥, 삶은 국수는 살강에서 머물다가 밥상에 올랐다. 찐 감자나 고구마도 그곳의 단골이었다. 언제부터인지 살강은 신식 찬장에 자리를 내주고 흔적을 찾기란 쉽지 않다.
박경리 소설 토지에 ‘남의 집은 삽짝(사립짝)에 들어서믄(면) 따신내(따뜻한 냄새)가 나는데 헌 살강 겉은(같은) 이눔으(의) 집구석에는 냉바람만 돌고… 팔자가 사나울 것은, 살강 밑을 드나드는 새앙쥐(생쥐)도 알 만한 일’이란 구절이 있다. 이같이 살강 위에는 찌든 살림에 먹을 것이 별로 없는데도 무심한 ‘새앙쥐’들은 제집 드나들 듯했었다.
며칠 전 삶아 놓았던 국수를 냉장고에서 꺼내는 걸 보고 ‘살강의 시절’을 생각했다. 대나무 선반 위에다 작은 대바구니 하나 두면 옛 멸치국수 맛을 되살릴까 싶었다. 그런데 ‘살강 국수’를 생쥐들과 더러 나눠 먹었을지 모를 일이니 질겁할 일이다.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박경리 소설 토지에 ‘남의 집은 삽짝(사립짝)에 들어서믄(면) 따신내(따뜻한 냄새)가 나는데 헌 살강 겉은(같은) 이눔으(의) 집구석에는 냉바람만 돌고… 팔자가 사나울 것은, 살강 밑을 드나드는 새앙쥐(생쥐)도 알 만한 일’이란 구절이 있다. 이같이 살강 위에는 찌든 살림에 먹을 것이 별로 없는데도 무심한 ‘새앙쥐’들은 제집 드나들 듯했었다.
며칠 전 삶아 놓았던 국수를 냉장고에서 꺼내는 걸 보고 ‘살강의 시절’을 생각했다. 대나무 선반 위에다 작은 대바구니 하나 두면 옛 멸치국수 맛을 되살릴까 싶었다. 그런데 ‘살강 국수’를 생쥐들과 더러 나눠 먹었을지 모를 일이니 질겁할 일이다.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2014-07-24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