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썩거리는 파도소리를 들으며 제주 해녀들이 잡은 전복을 먹던 감흥을 떠올려 본다. 해녀들은 바닷가를 찾는 이들에게 기념사진을 찍자고 제안하기도 한다. 힘겨운 삶 속에서도 여유가 넘친다. 물질을 끝내고 가쁜 숨을 내쉬는 숨비소리에서는 고단함이 묻어나지만 ‘태왁’에 몸을 맡기고 물살을 가르는 모습을 보고 있노라면 세상은 어찌 이리 정겹게 다가오는 것인지…. 험한 바다에 뛰어드는 해녀에게서 인간의 강인함과 도전정신을 배운다. 제주해녀는 1965년 2만 3000여명에 이르렀지만 2012년 기준 4500여명으로 줄었다. 70대 이상 노인이 절반을 넘는다. 제주도 대표 수영선수로 활약한 20대 여성이 어머니의 뒤를 이어 해녀를 직업으로 선택했다고 한다. 힘든 일을 기피하는 젊은이들에게 귀감이 될 만하다. 제주해녀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를 신청해 놓은 상태. 해녀가 대한민국 아니 세계의 브랜드로 자리 잡길 기대한다. 제주해녀학교에는 미국, 러시아인 등 외국 여성 6명이 교육받고 있다. 해녀는 과연 세계인의 마음을 사로잡는 인류의 유산이 될 수 있을까. 제주 해녀는 그 자체로 벅찬 감동이다.
오승호 논설위원 osh@seoul.co.kr
오승호 논설위원 osh@seoul.co.kr
2014-07-15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