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대에 올랐다. ‘염장이’를 비롯해 1인 15역의 모노극을 하는 배우가 앞줄에 앉은 내 얼굴을 빤히 쳐다보더니 “박형사 아니요”라며 손목을 잡아당겼다. 머릿속이 하얘졌다가 텅 비는 느낌이었다. 150명 남짓한 관객들의 시선이 머리에서 발끝까지를 훑고 있었다. 낭패도 그런 낭패가 없었다.
나이 지긋한 배우는 능숙했다. 답변을 유도하고 행동을 이끌었다. 처음엔 어눌하고 어색했다. 그러기를 두세 차례, 갑자기 시키지도 않은 감탄사가 내 입에서 튀어나왔다. 동작도 배우의 주문 이상으로 커졌다. 관객들은 박장대소했다. 배우도 멀뚱히 쳐다보다가 이내 폭소를 터뜨렸다.
두 번째 불려나갔을 땐 배우가 염을 한 고인의 큰아들 역할이 주어졌다. 배우의 연출에 따라 차남 역을 맡은 청년 관객과 유산을 둘러싸고 삿대질을 하며 다투었다. 놀랍게도 어느새 나는 ‘즐기고’ 있었다.
공연장을 나서자 한동안 오가는 사람들이 킥킥대며 나를 쳐다보는 듯했다. 몸둘 바를 몰라 하면서도 자꾸 웃음이 나왔다. 기이한 체험이었다. 내 안에는 얼마나 많은, 나도 모르는 ‘내’가 존재하는 걸까.
박찬구 논설위원 ckpark@seoul.co.kr
나이 지긋한 배우는 능숙했다. 답변을 유도하고 행동을 이끌었다. 처음엔 어눌하고 어색했다. 그러기를 두세 차례, 갑자기 시키지도 않은 감탄사가 내 입에서 튀어나왔다. 동작도 배우의 주문 이상으로 커졌다. 관객들은 박장대소했다. 배우도 멀뚱히 쳐다보다가 이내 폭소를 터뜨렸다.
두 번째 불려나갔을 땐 배우가 염을 한 고인의 큰아들 역할이 주어졌다. 배우의 연출에 따라 차남 역을 맡은 청년 관객과 유산을 둘러싸고 삿대질을 하며 다투었다. 놀랍게도 어느새 나는 ‘즐기고’ 있었다.
공연장을 나서자 한동안 오가는 사람들이 킥킥대며 나를 쳐다보는 듯했다. 몸둘 바를 몰라 하면서도 자꾸 웃음이 나왔다. 기이한 체험이었다. 내 안에는 얼마나 많은, 나도 모르는 ‘내’가 존재하는 걸까.
박찬구 논설위원 ckpark@seoul.co.kr
2014-07-12 2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