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일본기자 두 사람을 서울의 유명한 평양 냉면집으로 안내했다. 이들은 냉면이 처음이라고 했다. 맛집과 여행을 전문으로 하는 기자들이니 품평이 궁금했다. 결론적으로 이들은 냉면 그릇의 바닥이 반짝이도록 육수까지 깨끗이 비웠다. 한 마디로 맛있다고 입을 모았다. 일본에서도 냉면에 대한 이런저런 이야기를 적지 않게 들었지만 먹어보니 상상했던 맛과는 달랐다고 했다. 생각했던 것보다 맛있다는 뜻이었다.
평양냉면의 사리는 메밀을 주재료로 쓴다. 메밀국수(소바)를 즐기는 일본인들이니 냉면도 친숙했을 것이다. 냉면을 눌러서 뽑는다면 소바는 썰어서 만드는 것이 다를 뿐이다. 알고 보면 닮은 것은 더 있다. 냉면에 무김치를 곁들이듯 소바를 찍어 먹는 간장에도 무를 갈아 넣지 않는가. 무가 메밀의 독성을 완화시킨다는 사실을 일찌감치 터득한 공통의 지혜다.
그들은 도쿄에 이런 냉면집이 있으면 좋겠다고 했다. 그런데 이 집 수준의 냉면맛을 내는 집은 우리나라에도 열 곳이 될까 말까 하다. 고부가 가치 수출 산업으로 발전시키려면 국내 ‘냉면 산업’부터 부흥시켜야 할 것 같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평양냉면의 사리는 메밀을 주재료로 쓴다. 메밀국수(소바)를 즐기는 일본인들이니 냉면도 친숙했을 것이다. 냉면을 눌러서 뽑는다면 소바는 썰어서 만드는 것이 다를 뿐이다. 알고 보면 닮은 것은 더 있다. 냉면에 무김치를 곁들이듯 소바를 찍어 먹는 간장에도 무를 갈아 넣지 않는가. 무가 메밀의 독성을 완화시킨다는 사실을 일찌감치 터득한 공통의 지혜다.
그들은 도쿄에 이런 냉면집이 있으면 좋겠다고 했다. 그런데 이 집 수준의 냉면맛을 내는 집은 우리나라에도 열 곳이 될까 말까 하다. 고부가 가치 수출 산업으로 발전시키려면 국내 ‘냉면 산업’부터 부흥시켜야 할 것 같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4-06-26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