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말라야를 찾은 여행객이 큰 산이 보일 때마다 “저 산의 이름이 뭐냐”고 안내원에게 물었다. “저건 산입니다.” 그의 대답에는 나름의 이유가 있었다. 7000m 이상의 고봉이 많은 히말라야엔 그보다 낮은 산들이 지척에 널려 있다. 이곳 사람들에겐 이름 없는 언덕일 뿐이다. 하지만 히말라야의 작은 봉우리가 이들이 살아온 인생에 끼친 영향은 실로 컸을 것이다.
초등학생 때 ‘식물채집’을 많이 했다. 책갈피에 넣은 풀잎이 반듯하게 마르면 종이에 붙여 이름과 특징 등을 적어 개학 때 제출하던 방학숙제다. 이름을 몰라 어른들이 쓰는 단어(사투리)로 적어내기도 했다. 그래서인지 지금도 잘못 알고 있는 게 적지 않다. 얼마 전에 이들을 ‘들풀’로만 남기기로 했다. 어설픈 식물채집이 오랜 기간 영향을 끼쳤다는 생각에서다.
성철 스님은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다”라고 법문했다. 산중 생활에서 비롯된 말씀일 것이다. 큰스님에게도 산과 물이 끼친 영향이 적지 않았던 것 같다. 안내원의 이야기와 들풀 채집 경험은 주위 환경이 무시될 수 없다는 소중한 가치를 일깨운다.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초등학생 때 ‘식물채집’을 많이 했다. 책갈피에 넣은 풀잎이 반듯하게 마르면 종이에 붙여 이름과 특징 등을 적어 개학 때 제출하던 방학숙제다. 이름을 몰라 어른들이 쓰는 단어(사투리)로 적어내기도 했다. 그래서인지 지금도 잘못 알고 있는 게 적지 않다. 얼마 전에 이들을 ‘들풀’로만 남기기로 했다. 어설픈 식물채집이 오랜 기간 영향을 끼쳤다는 생각에서다.
성철 스님은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다”라고 법문했다. 산중 생활에서 비롯된 말씀일 것이다. 큰스님에게도 산과 물이 끼친 영향이 적지 않았던 것 같다. 안내원의 이야기와 들풀 채집 경험은 주위 환경이 무시될 수 없다는 소중한 가치를 일깨운다.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2014-06-19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