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전 사회부 사건기자 시절의 이야기다. 당시 경찰 출입 기자들은 현장에서 수첩에 작성한 기사를 전화로 내근 당번 기자에게 불렀다. 그 언저리의 사건 데스크는 회사 역사상 가장 무서운 선배로 첫손가락에 꼽히는 분이었다. 그 선배는 패륜적인 내용이 담겨 있는 기사를 넘겨받으면 크게 화를 냈다. 이유는 간단했다. 인간에 관한 기사만 쓰라는 것이었다. 신문기사가 인간사를 다루어야지 비인간의 잡사(雜事)까지 다룰 필요가 있느냐고 침을 튀기곤 했다. 충분히 수긍할 수 있었고, 지금도 가슴에 새기고 있다.
매체마다 패륜적 내용이 넘쳐난다. 우리나라 얘기는 아닌 듯하지만, 인터넷 신문을 훑어가다 ‘친딸과 동거, 자녀셋 낳은’이라는 제목이 눈에 띄었다. 순간 얼마 전 세상을 떠난 그 선배의 얼굴이 떠올랐다. 사람들은 세상이 각박해져 그렇다고 하지만, 예전에도 이런 사건은 결코 적지 않았다. 다만 인간 세계의 일이 아니라서 묻혀졌을 뿐…. 그때는 언론 종사자 대부분이 비인간사는 기사가 아니라는 데 동의하고 있었다는 뜻은 아닐까. 나는 지금도 이런 기사는 읽고 싶지 않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매체마다 패륜적 내용이 넘쳐난다. 우리나라 얘기는 아닌 듯하지만, 인터넷 신문을 훑어가다 ‘친딸과 동거, 자녀셋 낳은’이라는 제목이 눈에 띄었다. 순간 얼마 전 세상을 떠난 그 선배의 얼굴이 떠올랐다. 사람들은 세상이 각박해져 그렇다고 하지만, 예전에도 이런 사건은 결코 적지 않았다. 다만 인간 세계의 일이 아니라서 묻혀졌을 뿐…. 그때는 언론 종사자 대부분이 비인간사는 기사가 아니라는 데 동의하고 있었다는 뜻은 아닐까. 나는 지금도 이런 기사는 읽고 싶지 않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4-05-23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