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갑상선암이 논란이다. 암은 공포스럽지만 갑상선암은 진행속도가 늦고 전이도 거의 되지 않는 ‘거북이 암’으로 착한 암으로 불린다. 한국인은 공격적인 갑상선암이 1% 미만이란다. 그런데 이 암이 한국에서 갑자기 인구 10만명당 81명이나 걸리는 발병률이 높은 암이 됐다. 1986년에는 4.6명 걸리던 암이었으니, 20배나 늘었다. 의료계는 2000년대 초음파 진단기 개발기술이 발전하면서 나타난 과다 진단 현상의 하나라고 설명한다.
갑상선암으로 진단되면 목 좌우에 나비처럼 생긴 갑상선과 부속기관을 수술로 제거할 것을 권유받는다. 이후 평생 호르몬 약을 먹어야 한다. 갑상선은 체온, 소화기능, 피로해소 등 몸의 기능을 적절하게 유지해주는 호르몬을 분비하는 기관인 만큼 약을 먹어도 기능이 완전히 회복되지 않는 등 후유증이 우려된다.
따라서 갑상선암이 진단되면 두려워하거나 성급하게 수술을 결정하지 말고, 지켜보면서 결정해야 현명하다. 갑상선 결절도 마찬가지다. 수술을 강권하지 않는 의사와 만나길 기원해야 할 듯하다.
문소영 논설위원 symun@seoul.co.kr
갑상선암으로 진단되면 목 좌우에 나비처럼 생긴 갑상선과 부속기관을 수술로 제거할 것을 권유받는다. 이후 평생 호르몬 약을 먹어야 한다. 갑상선은 체온, 소화기능, 피로해소 등 몸의 기능을 적절하게 유지해주는 호르몬을 분비하는 기관인 만큼 약을 먹어도 기능이 완전히 회복되지 않는 등 후유증이 우려된다.
따라서 갑상선암이 진단되면 두려워하거나 성급하게 수술을 결정하지 말고, 지켜보면서 결정해야 현명하다. 갑상선 결절도 마찬가지다. 수술을 강권하지 않는 의사와 만나길 기원해야 할 듯하다.
문소영 논설위원 symun@seoul.co.kr
2014-03-26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