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중이 이용하는 화장실의 좌변기 옆에 있는 휴지통을 없애자는 바람이 분다고 한다. 주변 화장실엔 ‘변기에 화장지를 넣지 말자’는 문구가 붙어 있는 곳이 한둘이 아닌데 웬 자다 봉창 두드리는 소리인가.
연유를 알고 보니 이내 고개가 끄덕여진다. 요즘 화장지는 보들보들해 여간해선 변기에 넣어도 막히지 않는다고 한다. 냄새는 물론 세균 번식 걱정도 할 필요가 없다.
왜 이제서야 이런 생각을 했을까. 볼일을 마치면 으레 휴지를 통에 넣고, 화장실은 지저분한 곳이라 여겼는데 이제 그런 고정관념은 더 이상 통하지 않는다. 요즘 웬만한 공공 화장실 입구는 휴식공간으로 손색이 없을 만큼 쾌적하다. 좌변기 물은 자동차 핸들과 지하철 헝겊의자보다도 세균이 훨씬 적다는 조사 결과도 있다. 화장실은 지금 무한 진화 중이다.
며칠 전 화장실의 꽉 막힌 변기를 보고 난감했던 적이 있다. 그냥 나오려다 옆에 있던 변기 뚫는 기구를 사용했더니 뻥 뚫렸다. 조금은 수고로웠지만 개운함은 두 배였다. 휴지통이 없어 변기가 막힐까 걱정된다면 기구 사용법을 붙여 놓으면 될 터다.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연유를 알고 보니 이내 고개가 끄덕여진다. 요즘 화장지는 보들보들해 여간해선 변기에 넣어도 막히지 않는다고 한다. 냄새는 물론 세균 번식 걱정도 할 필요가 없다.
왜 이제서야 이런 생각을 했을까. 볼일을 마치면 으레 휴지를 통에 넣고, 화장실은 지저분한 곳이라 여겼는데 이제 그런 고정관념은 더 이상 통하지 않는다. 요즘 웬만한 공공 화장실 입구는 휴식공간으로 손색이 없을 만큼 쾌적하다. 좌변기 물은 자동차 핸들과 지하철 헝겊의자보다도 세균이 훨씬 적다는 조사 결과도 있다. 화장실은 지금 무한 진화 중이다.
며칠 전 화장실의 꽉 막힌 변기를 보고 난감했던 적이 있다. 그냥 나오려다 옆에 있던 변기 뚫는 기구를 사용했더니 뻥 뚫렸다. 조금은 수고로웠지만 개운함은 두 배였다. 휴지통이 없어 변기가 막힐까 걱정된다면 기구 사용법을 붙여 놓으면 될 터다.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2014-03-14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