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격탄’, ‘교두보’, ‘뇌관’, ‘아군’, ‘격전지’…. 최근 중앙일간지 정치면에 등장한 용어들이다. 전쟁영화에나 제격이다. 또 선거철인가 싶다. ‘실탄’(선거자금), ‘공중전’(중앙당의 지원) 같은 단어도 조만간 쓰일 듯하다. ‘솔까말’, ‘지못미’, ‘개드립’처럼 인터넷의 자의적인 변형과 파괴로 몸살을 앓는 한글의 시름이 갈수록 깊다.
지난 대선 직후 한국언론학회가 펴낸 대선보도 평가보고서는 바람직하지 않은 선거보도의 하나로 ‘전략적 용어를 주로 사용하는 보도’를 꼽았다. ‘벼랑 끝 최후통첩’, ‘승부수’ 등 선거를 전투와 게임으로 묘사하는 전략적 용어는 정치 냉소와 선거 불참을 부추긴다고 했다.
글은 현실을 반영한다. 때론 현실을 재구성한다. 시대 변화를 담은 ‘변용한글’은 세대 간 갈등을 유발하기도 한다. 허허벌판인 우리 정치와 선거를 규정하기에 자극과 극단의 전투용어가 어울린다고 여길지 모르겠다. 하지만 정치를 혐오와 불신으로 틀 짓기할 생각이 아니라면 과장과 극화(劇化)의 유혹에서 이젠 벗어날 때도 됐다.
박찬구 논설위원 ckpark@seoul.co.kr
지난 대선 직후 한국언론학회가 펴낸 대선보도 평가보고서는 바람직하지 않은 선거보도의 하나로 ‘전략적 용어를 주로 사용하는 보도’를 꼽았다. ‘벼랑 끝 최후통첩’, ‘승부수’ 등 선거를 전투와 게임으로 묘사하는 전략적 용어는 정치 냉소와 선거 불참을 부추긴다고 했다.
글은 현실을 반영한다. 때론 현실을 재구성한다. 시대 변화를 담은 ‘변용한글’은 세대 간 갈등을 유발하기도 한다. 허허벌판인 우리 정치와 선거를 규정하기에 자극과 극단의 전투용어가 어울린다고 여길지 모르겠다. 하지만 정치를 혐오와 불신으로 틀 짓기할 생각이 아니라면 과장과 극화(劇化)의 유혹에서 이젠 벗어날 때도 됐다.
박찬구 논설위원 ckpark@seoul.co.kr
2014-02-18 3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