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에게 왜 겨울잠이 없을까. 겨울에 안전한 동굴을 찾아 동면에 들어갔다가 봄에 개구리처럼 폴짝 뛰어나오면 될 것을. 왜 원시인들은 추위에 위험한 매머드 사냥을 하는 등으로 고단하게 살았을까 안타까웠다. 그런데 최근 사람을 포함한 포유류들은 원래 겨울잠을 잤다는 주장이 나왔다. 개구리나 곤충, 박쥐와 다람쥐류, 반달가슴곰 등처럼 인간도 겨울잠을 잤는데, 이제는 유전자에 흔적으로만 남아 있다고 한다. 다만, 이 유전적 흔적은 아데노신 같은 물질이 투입되면 방아쇠가 당겨진 것과 같은 효과를 내 겨울잠에 빠져든다는 것이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의 한 대학에서 겨울잠이 없는 쥐를 실험해 이런 결과를 얻었다.
꼬리뼈처럼 진화의 흔적으로 남아야 할 겨울잠이 최근 찾아온 것 같다. 동면한 반달가슴곰처럼 졸음이 쏟아진다. 혈압이 낮은 탓에 흐리고 눈 오는 날에는 더욱 그렇다. 진화가 덜 됐나? 아주 먼 미래에 생산력과 효율성이 좋아져 서너 달씩 휴가를 떠날 수 있게 된다면 인간도 한두 달씩 겨울잠을 자면 어떨까 하는 엉뚱한 망상을 해봤다. 병원에 가 보는 것이 좋을까?
문소영 논설위원 symun@seoul.co.kr
꼬리뼈처럼 진화의 흔적으로 남아야 할 겨울잠이 최근 찾아온 것 같다. 동면한 반달가슴곰처럼 졸음이 쏟아진다. 혈압이 낮은 탓에 흐리고 눈 오는 날에는 더욱 그렇다. 진화가 덜 됐나? 아주 먼 미래에 생산력과 효율성이 좋아져 서너 달씩 휴가를 떠날 수 있게 된다면 인간도 한두 달씩 겨울잠을 자면 어떨까 하는 엉뚱한 망상을 해봤다. 병원에 가 보는 것이 좋을까?
문소영 논설위원 symun@seoul.co.kr
2013-12-31 3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