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부의 대화 시간이 30분도 안 된다는 한탄이 쏟아졌다. 기혼자 992명에게 물어보니 약 40%가 30분 미만이라는 것. 주요한 이유로 늦은 귀가(34.4%)와 TV, 컴퓨터, 스마트폰 이용(29.8%), 자녀양육(19.2%) 등이 제시됐다. 대화 내용도 자녀교육과 건강, 집안의 대소사가 약 70% 가까이 된다. 2000년대 초쯤 무뚝뚝한 경상도 남자가 퇴근해 돌아오면 부인과 딱 세 마디를 한다는 이야기가 유행했다. “아는(애는?)”, “밥도(밥 주라)”, “자자”가 그것. 비록 30분 미만이지만 남편의 일방적인 세 마디로 끝나는 과거의 부부에 비해서 얼마나 다행이냐는 생각이 문득 든다.
대화 부재는 시간 탓이 아니다. 해외 연수나 교수 안식년을 함께하는 한가한 부부들은 오붓한 대화 대신 부부 싸움이 잦아지기 십상이다. 하숙생 같던 배우자의 장단점을 몰랐다가 남는 시간에 흠결을 보는 탓이다. 그래서 의도적인 대화단절로 되돌아가게 된다. 그러니 없는 시간을 쪼개 대화하고 애정표현을 하는 노력이 중요하다. 닭살이 돋는 듯하겠지만, 습관의 동물인 우리는 의외로 잘해낼지도 모른다.
문소영 논설위원 symun@seoul.co.kr
대화 부재는 시간 탓이 아니다. 해외 연수나 교수 안식년을 함께하는 한가한 부부들은 오붓한 대화 대신 부부 싸움이 잦아지기 십상이다. 하숙생 같던 배우자의 장단점을 몰랐다가 남는 시간에 흠결을 보는 탓이다. 그래서 의도적인 대화단절로 되돌아가게 된다. 그러니 없는 시간을 쪼개 대화하고 애정표현을 하는 노력이 중요하다. 닭살이 돋는 듯하겠지만, 습관의 동물인 우리는 의외로 잘해낼지도 모른다.
문소영 논설위원 symun@seoul.co.kr
2013-12-30 3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