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민담에 ‘자린고비와 달랑곱재기’란 두 구두쇠 얘기가 있다. 자린고비가 추운 겨울날 구멍 난 창호지를 바를 요량으로 근처에 사는 달랑곱재기에게 ‘올 한 해의 일진을 적어 보내게’란 서신을 보냈다. 보내 온 장문의 서신 종이로 문구멍을 막겠다는 계산이었다. 답신이 오지 않자 자린고비는 달랑곱재기를 찾지만 보낸 서신은 이미 그의 방 문구멍을 막는 데 사용된 상태. 자린고비는 되레 사용한 밥알마저 내놓으란 말만 듣고 나온다. 해학적이지만 자린고비가 길길이 뛰는 모습에 웃음이 절로 나온다.
1998년 IMF발 금융위기 때 ‘아나바다운동’이란 게 있었다. ‘아껴쓰고 나눠쓰고 바꾸고 다시 쓰자’의 줄임말이다. 당시 이 운동은 금 모으기와 함께 암울했던 우리의 심금을 짠하게 울렸었다. 며칠 전 방안의 휴지통에서 뽑은 휴지를 찢은 뒤 쓰는 내 모습을 보고 멋쩍게 웃었다. 이는 아내가 오래전부터 써먹는 것. “휴지를 잘라서 쓰다니···.” 그런 것이 내게 전염된 것이다. 추수를 한 벼 논에서 이삭을 주워 본 이들은 안다. 그 이삭이 사는 데 얼마나 소중한 경험인지를.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1998년 IMF발 금융위기 때 ‘아나바다운동’이란 게 있었다. ‘아껴쓰고 나눠쓰고 바꾸고 다시 쓰자’의 줄임말이다. 당시 이 운동은 금 모으기와 함께 암울했던 우리의 심금을 짠하게 울렸었다. 며칠 전 방안의 휴지통에서 뽑은 휴지를 찢은 뒤 쓰는 내 모습을 보고 멋쩍게 웃었다. 이는 아내가 오래전부터 써먹는 것. “휴지를 잘라서 쓰다니···.” 그런 것이 내게 전염된 것이다. 추수를 한 벼 논에서 이삭을 주워 본 이들은 안다. 그 이삭이 사는 데 얼마나 소중한 경험인지를.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2013-12-19 3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