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시절에는 텔레비전에서 영화를 지금보다 더 많이 봤던 것 같다. 그런데 뮤지컬 영화는 질색이었다. 어린 마음에 자연스럽게 이어져야 할 스토리의 흐름이 그저그런 노래로 끊기는 것이 싫었다. 이런 생각은 리처드 로저스와 오스카 해머스타인 2세의 뮤지컬 영화 ‘사운드 오브 뮤직’을 보면서 바뀌었다. 이 영화는 서울 개봉 당시에도 표를 사려는 관람객이 대한극장을 한 바퀴 휘감았을 만큼 인기가 있었다.
지금도 배우 줄리 앤드루스를 좋아하는 것도 이 영화의 영향이다. 영화 속의 마리아는 크리스토퍼 플러머가 연기한 홀아비 폰 트랍 대령이 키우는 일곱남매의 가정교사로 들어갔다가 결국 엄마가 된다. 웃음을 잃었던 가정에 행복을 만들어 준 것이다.
계모(繼母)라는 단어에서는 음침한 느낌이 난다, 최근 울산에서는 계모의 악행으로 숨진 초등학생 딸의 소식이 많은 사람을 안타깝게 했다. 그럼에도 세상에는 나쁜 계모보다는 마리아처럼 좋은 새엄마가 훨씬 더 많다. 계모가 동화책에만 나오고 현실에서는 쓸 일이 없는 단어가 되었으면 좋겠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지금도 배우 줄리 앤드루스를 좋아하는 것도 이 영화의 영향이다. 영화 속의 마리아는 크리스토퍼 플러머가 연기한 홀아비 폰 트랍 대령이 키우는 일곱남매의 가정교사로 들어갔다가 결국 엄마가 된다. 웃음을 잃었던 가정에 행복을 만들어 준 것이다.
계모(繼母)라는 단어에서는 음침한 느낌이 난다, 최근 울산에서는 계모의 악행으로 숨진 초등학생 딸의 소식이 많은 사람을 안타깝게 했다. 그럼에도 세상에는 나쁜 계모보다는 마리아처럼 좋은 새엄마가 훨씬 더 많다. 계모가 동화책에만 나오고 현실에서는 쓸 일이 없는 단어가 되었으면 좋겠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3-12-18 3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