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영주의 소수서원은 숙수사라는 절터에 세워졌다. 1953년 이곳에서는 항아리에 담긴 채 묻힌 통일신라 불상 25구가 발굴됐다. 학계는 폐사(廢寺)가 고려 고종 18년(1231)부터 국토를 휩쓴 몽골의 침입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본다. 불상도 난리를 만난 스님들이 황급히 묻었다는 것이다.
불교중앙박물관에서는 지금 ‘인각사와 삼국유사’ 전시회가 열리고 있다. 경북 군위 인각사는 일연이 ‘삼국유사’를 완성한 절이지만 한동안 폐허나 다름없었다. 전시회에는 2008년 한꺼번에 출토된 통일신라시대 공양구 10여 점이 처음 공개됐다. 인각사 스님들이 의식용품을 땅속에 숨긴 것도 언제인가 전란의 와중이었을 것이다.
한 불교 잡지에서 ‘스님들이 의병을 조직해 외적과 싸운 것은… 불교 본래의 진리관에서 보면 국가주의와 결합해 전쟁과 살육에 참여한 것으로 문젯거리’라는 글을 읽었다. 오늘날 관점에서는 공감이 간다. 하지만 외적에게 살육당해 절조차 지키지 못한 숙수사와 인각사 스님들도 극락에서 고개를 끄덕이고 있을지는 잘 모르겠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불교중앙박물관에서는 지금 ‘인각사와 삼국유사’ 전시회가 열리고 있다. 경북 군위 인각사는 일연이 ‘삼국유사’를 완성한 절이지만 한동안 폐허나 다름없었다. 전시회에는 2008년 한꺼번에 출토된 통일신라시대 공양구 10여 점이 처음 공개됐다. 인각사 스님들이 의식용품을 땅속에 숨긴 것도 언제인가 전란의 와중이었을 것이다.
한 불교 잡지에서 ‘스님들이 의병을 조직해 외적과 싸운 것은… 불교 본래의 진리관에서 보면 국가주의와 결합해 전쟁과 살육에 참여한 것으로 문젯거리’라는 글을 읽었다. 오늘날 관점에서는 공감이 간다. 하지만 외적에게 살육당해 절조차 지키지 못한 숙수사와 인각사 스님들도 극락에서 고개를 끄덕이고 있을지는 잘 모르겠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3-12-04 3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