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학전문대학원 교수인 A씨는 “교수라는 직업은 누가 뭐라고 간섭하는 사람이 없는 게 좋은 것 같다”고 말한다. 흠이라면 업무를 혼자 처리하는 것 정도라면서 만족해 한다. 한때 대형 로펌에 근무했지만 로비스트 활동을 하는 것이 적성에 맞지 않아 박차고 나왔다. 검사 출신의 B교수는 변호사 개업을 했다가 그만뒀다. 부인에게 “겪어보니 변호사는 죽어도 못하겠다”고 넋두리를 했단다. 변호사를 하면 형편이 좀 나아질 거라고 내심 기대했던 부인인들 어찌하리. 대기업에 다니는 한 사회 초년생은 아예 다른 직종의 입사시험 준비를 하고 있다. 직장생활이 대학생 때 동경했던 것과는 차이가 너무 크다고 느낀다. 상사의 허드렛일을 돕는 것은 영 내키지 않는다고 한다.
직업의 종류나 근무 환경 때문에 고민하는 사람들이 어디 한두 명이겠는가. ‘진로탐색 활동 등을 위한 중학교 자유학기제를 진작 시행했으면 어땠을까’하는 생각도 문득 해본다. 대학입시의 계절이다. 올해도 적성보다는 일단 붙고 보자는 식의 ‘묻지 마’ 지원자는 또 얼마나 많을까.
오승호 논설위원 osh@seoul.co.kr
직업의 종류나 근무 환경 때문에 고민하는 사람들이 어디 한두 명이겠는가. ‘진로탐색 활동 등을 위한 중학교 자유학기제를 진작 시행했으면 어땠을까’하는 생각도 문득 해본다. 대학입시의 계절이다. 올해도 적성보다는 일단 붙고 보자는 식의 ‘묻지 마’ 지원자는 또 얼마나 많을까.
오승호 논설위원 osh@seoul.co.kr
2013-11-13 3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