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간고등어가 서울신문사와 연세대학교가 함께 준비하고 있는 ‘대한민국 지역 브랜드 대상’의 1차 심사 결과 특산물 부문에서 당당히 2등에 올랐다고 한다. 간고등어는 오래전부터 내륙지방에서 특히 인기 있는 먹거리이지만, 어느새 ‘간고등어는 안동’이라는 인식이 깊이 심어진 것이다. 사실 서울에서는 자반고등어라는 이름으로 친숙한데, 자반이란 소금을 뿌려 저장성을 강화한 음식을 말한다. 좌반(佐飯)이라는 한자 표기에서 비롯된 것으로, 글자 그대로 밥을 먹도록 도와주는 반찬이라는 뜻이다.
안동 간고등어는 태백산맥을 넘나든 봇짐장수들이 흘린 땀의 산물이다. 영덕에서 봇짐장수들의 지게에 실린 생선은 숙성이 시작되어, 임하댐 건설로 수몰된 안동 임동장터에 이르면 소금을 쳐 부패를 막아야 했다. 그래서 옛날 먹던 자반고등어는 표면이 살짝 하얗게 변한 느낌이 들 만큼 깊이 숙성된 것이었다. 요즘에는 싱싱한 고등어에 그저 간을 친 뱃자반이 대부분이다. 옛 자반고등어를 부활시켜도 좋겠다. ‘임동 간고등어’로 이름 붙이면 새로운 인기 브랜드가 되지 않을까.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안동 간고등어는 태백산맥을 넘나든 봇짐장수들이 흘린 땀의 산물이다. 영덕에서 봇짐장수들의 지게에 실린 생선은 숙성이 시작되어, 임하댐 건설로 수몰된 안동 임동장터에 이르면 소금을 쳐 부패를 막아야 했다. 그래서 옛날 먹던 자반고등어는 표면이 살짝 하얗게 변한 느낌이 들 만큼 깊이 숙성된 것이었다. 요즘에는 싱싱한 고등어에 그저 간을 친 뱃자반이 대부분이다. 옛 자반고등어를 부활시켜도 좋겠다. ‘임동 간고등어’로 이름 붙이면 새로운 인기 브랜드가 되지 않을까.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3-10-02 3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