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창 시절, 친구들과 충남 예산의 수덕사에 가겠다고 길을 나선 적이 있다. 우리는 장항선의 수덕사역(驛)에 내렸다. 이름이 수덕사역이니 수덕사가 멀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을 가지고…. 그런데 그게 아니었다. 수덕사는 너무나도 멀었다. 걷고 또 걸었지만 수덕사는 나타나지 않았다. 30년이 넘은 이야기이다. 당시에도 갈증을 푸는 데는 TV 광고에 나오는 대로 콜라가 좋았지만, 콜라를 먹자고 말하는 사람은 없었다. 대신 중간에 나타난 막걸리집에 환호했다.
수덕사역에서 수덕사까지 도로포장조차 되지 않았던 시절이다. 길가의 막길리 가게는 커다란 독에 막걸리를 담아 팔고 있었다. 여름철 막걸리는 시큼털털할 수밖에 없었다. 그래도 공짜 안주로 내놓은 시원한 열무김치와 어우러진 맛의 조화는 환상적이었다.
막걸리의 포장 단위를 최대 2ℓ로 할 것인가, 10ℓ로 할 것인가를 두고 공정위원회와 국세청 사이에 이견이 있다고 한다. 맥주도 생맥주는 큰 통에 담아 공급하고 있는 것 아닌가. 전통문화 보존 차원에서도 막걸리쯤은 그냥 놔둬도 좋지 않을까.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수덕사역에서 수덕사까지 도로포장조차 되지 않았던 시절이다. 길가의 막길리 가게는 커다란 독에 막걸리를 담아 팔고 있었다. 여름철 막걸리는 시큼털털할 수밖에 없었다. 그래도 공짜 안주로 내놓은 시원한 열무김치와 어우러진 맛의 조화는 환상적이었다.
막걸리의 포장 단위를 최대 2ℓ로 할 것인가, 10ℓ로 할 것인가를 두고 공정위원회와 국세청 사이에 이견이 있다고 한다. 맥주도 생맥주는 큰 통에 담아 공급하고 있는 것 아닌가. 전통문화 보존 차원에서도 막걸리쯤은 그냥 놔둬도 좋지 않을까.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3-05-28 3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