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 시절 형제가 작당하여 아주 간단한 오디오를 하나 만들었다. 물론 고교생 형이 시키는 심부름이나 하는 것이 내 역할이었다. 인기 있던 잡지 ‘학생과학’에 나온 대로 서울 세운상가에서 구입한 부품을 서툴게 납땜하고, 황학동 고물상에서 낡은 턴테이블을 사들였다. 음질은 당연히 형편없었지만 밤이고, 낮이고 뚜껑도 없는 소리상자 곁에 붙어 앉았다. 음악을 들었다기보다 직접 만든 기계에서 소리가 난다는 사실의 뿌듯함을 즐겼다는 표현이 옳을 것이다.
거의 한 장의 음반만 틀다시피했는데, 불량 턴테이블에 긁혀도 아깝지 않다며 어른들이 건네준 해적판 LP였다. 헨리크 셰링이 바이올린, 아르투르 루빈스타인이 피아노를 연주한 베토벤의 바이올린 소나타였다. 소나타 5번 ‘봄’과 9번 ‘크로이처’가 앞뒷면에 담겨 있었는데, 음악 감상 초심자에게는 아무래도 감미로운 ‘봄’이 귀에 더 잘 들어왔다. 27년 만의 혹한이라지만, 그래도 봄은 조금씩 다가오고 있을 것이다. 문득 ‘봄’ 소나타도 오늘 같은 겨울날에 그린 봄날의 기분이 아니었을까 멋대로 상상해 본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거의 한 장의 음반만 틀다시피했는데, 불량 턴테이블에 긁혀도 아깝지 않다며 어른들이 건네준 해적판 LP였다. 헨리크 셰링이 바이올린, 아르투르 루빈스타인이 피아노를 연주한 베토벤의 바이올린 소나타였다. 소나타 5번 ‘봄’과 9번 ‘크로이처’가 앞뒷면에 담겨 있었는데, 음악 감상 초심자에게는 아무래도 감미로운 ‘봄’이 귀에 더 잘 들어왔다. 27년 만의 혹한이라지만, 그래도 봄은 조금씩 다가오고 있을 것이다. 문득 ‘봄’ 소나타도 오늘 같은 겨울날에 그린 봄날의 기분이 아니었을까 멋대로 상상해 본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3-01-18 3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