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살아 있다고 할 수가 없습니다. …견디기가 어렵습니다. 서울에서 보낸 반찬은 일곱 달 만에도 오고, 빨라야 두 달 만에 오니 성할 수가 있겠습니까. 그래도 김치는 워낙 짜게 절인 것이라 맛은 변했어도 주린 입이라 견디며 먹습니다.’
제주에서 귀양살이를 하던 추사 김정희가 서울에 있는 부인 예안 이씨에게 보낸 한글 편지의 일부이다. 추사는 헌종 6년(1840)부터 9년 동안 제주 남서쪽 대정에 유배됐다. 그가 위리안치된 대정은 겨울이면 거센 바람과 눈·서리로 ‘못살포’라고 불릴 만큼 환경이 척박한 곳이었다.
‘세한도’는 이렇듯 추사가 혹독한 세월을 보내고 있던 시절의 작품이다. 세한(歲寒)이란 ‘추워져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늦게 시듦을 안다’는 공자의 말씀. 나락에 떨어진 추사를 외면하지 않고 의리를 지킨 제자 이상적에게 감격해 그려준 것이다. 추사가 느꼈던 추위가 오늘 같았을까. 바깥 날씨보다 더 얼어붙은 겨울을 보내고 있을 친구에게 따뜻한 말 한마디라도 건네면 좋을 텐데 잘 되지 않는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제주에서 귀양살이를 하던 추사 김정희가 서울에 있는 부인 예안 이씨에게 보낸 한글 편지의 일부이다. 추사는 헌종 6년(1840)부터 9년 동안 제주 남서쪽 대정에 유배됐다. 그가 위리안치된 대정은 겨울이면 거센 바람과 눈·서리로 ‘못살포’라고 불릴 만큼 환경이 척박한 곳이었다.
‘세한도’는 이렇듯 추사가 혹독한 세월을 보내고 있던 시절의 작품이다. 세한(歲寒)이란 ‘추워져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늦게 시듦을 안다’는 공자의 말씀. 나락에 떨어진 추사를 외면하지 않고 의리를 지킨 제자 이상적에게 감격해 그려준 것이다. 추사가 느꼈던 추위가 오늘 같았을까. 바깥 날씨보다 더 얼어붙은 겨울을 보내고 있을 친구에게 따뜻한 말 한마디라도 건네면 좋을 텐데 잘 되지 않는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3-01-04 3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