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 얘기인 줄만 알았다. 119를 부른다는 것을. 여하튼 일요일 저녁 톡톡히 신세를 졌다. 심야에 병원 응급실을 찾은 경험이 있는 이라면 다시 가고 싶지 않은 곳이 바로 그곳일 게다. 얼마나 다급했으면 달려갔겠냐마는 시시콜콜한 것까지 캐묻는 인턴의 집요함(?)에 화가 머리 끝까지 오른 것이 비단 나만의 일일까. 말이 좋아 문진(問診)이지, “이러다가 사람 잡지.” 하는 생각을 웬만한 사람들은 해봤을 게다. 실제로 그런 일이 있었다. 국내 최고라는 한 대학병원 응급실을 찾은 지인의 아이. 정신 멀쩡하게 들어간 아이는 죽어서야 병원 문을 나왔다. 아이는 배 아파 죽겠다는데 수술할 의사는 좀체 코빼기를 내밀지 않았다. 수술을 마친 뒤 “조금만 더 빨리 수술을 했더라면….”이라고 했다니….
상계 백병원. 응급실엔 환자들로 북적댄다. 간단한 문진과 피·소변 검사, 흉부 X레이 촬영. 초음파는 의심되는 점이 있어 해봤지만 진료비에 포함이 안 된단다. 생각보다 빠른 의사의 설명과 처방. 낯선 풍경이다. 신뢰로 치환되는 순간이기도 하다.
최용규 논설위원 ykchoi@seoul.co.kr
상계 백병원. 응급실엔 환자들로 북적댄다. 간단한 문진과 피·소변 검사, 흉부 X레이 촬영. 초음파는 의심되는 점이 있어 해봤지만 진료비에 포함이 안 된단다. 생각보다 빠른 의사의 설명과 처방. 낯선 풍경이다. 신뢰로 치환되는 순간이기도 하다.
최용규 논설위원 ykchoi@seoul.co.kr
2012-02-22 3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