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창 시절의 친구들을 가끔 만나면 “너무 많이 달라졌다.”는 소릴 듣는다. 예전과 달리 성격이 급하고 말주변이 늘었다고 한다. 그리고 상대방의 얘기를 끝까지 들으려고 하지 않고, 뭘 물어볼 때도 다그치듯 한다고 핀잔을 준다. 집으로 가면서 자문해 본다. 결론은 직업병이다.
식구들도 친구들과 비슷한 얘기를 한다. 대표적인 게 전화(휴대전화) 통화다. 전화를 얼른 받지 않으면 짜증 섞인 투로 반응한다는 것이다. 일부러 받지 않는 것도 아닌데 말이다. 곰곰이 생각해 보면 약간의 전화 노이로제 같은 걸 갖고 있지 않나 싶다. 대개 벨소리가 두세 번 나기 전에 전화를 받고, 잘 때도 휴대전화를 머리맡에 놓아둔다. 영락없는 직업병이다.
스마트폰을 이용하면서부터 어디를 가든 시도 때도 없이 휴대전화를 들여다보는 버릇이 생겼다. 식사할 때도 옆에 둘 정도다. 그런데 버스나 전철을 타 보면 나만 그런 게 아니다. 남녀노소 가릴 것 없이 휴대전화에서 눈을 떼지 못한다. 이런 것도 직업병일까, 아니면 휴대전화 중독일까. 헷갈린다.
주병철 논설위원 bcjoo@seoul.co.kr
식구들도 친구들과 비슷한 얘기를 한다. 대표적인 게 전화(휴대전화) 통화다. 전화를 얼른 받지 않으면 짜증 섞인 투로 반응한다는 것이다. 일부러 받지 않는 것도 아닌데 말이다. 곰곰이 생각해 보면 약간의 전화 노이로제 같은 걸 갖고 있지 않나 싶다. 대개 벨소리가 두세 번 나기 전에 전화를 받고, 잘 때도 휴대전화를 머리맡에 놓아둔다. 영락없는 직업병이다.
스마트폰을 이용하면서부터 어디를 가든 시도 때도 없이 휴대전화를 들여다보는 버릇이 생겼다. 식사할 때도 옆에 둘 정도다. 그런데 버스나 전철을 타 보면 나만 그런 게 아니다. 남녀노소 가릴 것 없이 휴대전화에서 눈을 떼지 못한다. 이런 것도 직업병일까, 아니면 휴대전화 중독일까. 헷갈린다.
주병철 논설위원 bcjoo@seoul.co.kr
2012-02-17 3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