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상 주위에 어지럽게 쌓인 자료를 볼 때마다 마음 한구석이 개운치 않았다. 언제 한번 정리해야 할 텐데 마음만 먹다가 추위가 물러가고 봄기운이 감도는 것을 핑계로 미뤘던 책상 정리에 나섰다. 여기저기서 모아놓은 자료들을 살펴보니 쓸 만한 게 그리 많지 않았다. 시간이 지나면서 더 이상 유용하지 않거나 무의미해진 것들이 태반이었다. 정리가 끝나자 남은 것은 절반도 안 됐다. 서랍에 있던 명함에도 손을 댔다. 이미 현업을 떠난 사람도 많았고, 명함을 봐도 오래전이어서 이름이 기억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명함도 절반가량이 휴지통 속으로 들어갔다.
곧 이사를 가야 한다. 문득 다락 속에 처박아 둔 짐들이 생각났다. 버리기 아까워서, 또 언제 쓸지 모른다며 버리지 않고 모아뒀지만 지난 6년간 다락에서 내다쓴 기억이 없다. 쓸데없는 집착, 욕심으로 인해 불필요한 것들을 많이 안고 살아간다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박경리 선생은 돌아가시기 전 ‘버리고 갈 것만 남아서 참 홀가분하다’는 시를 남겼는지 모른다.
임태순 논설위원 stslim@seoul.co.kr
곧 이사를 가야 한다. 문득 다락 속에 처박아 둔 짐들이 생각났다. 버리기 아까워서, 또 언제 쓸지 모른다며 버리지 않고 모아뒀지만 지난 6년간 다락에서 내다쓴 기억이 없다. 쓸데없는 집착, 욕심으로 인해 불필요한 것들을 많이 안고 살아간다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박경리 선생은 돌아가시기 전 ‘버리고 갈 것만 남아서 참 홀가분하다’는 시를 남겼는지 모른다.
임태순 논설위원 stslim@seoul.co.kr
2012-02-15 3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