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 동창인 빵집 사장이 ‘잘나간다.’는 소리에 A씨는 옛일을 회상했다. “아! 그 녀석. 학교 다닐 땐 도시락(밥)도 못 싸올 정도로 가난했는데. 맨날 빵만 싸오고… 늘 우리가 싸 온 밥과 바꿔 먹었지.” 요즘 아이들에겐 낯설게 들리겠지만 1970년대 중·후반만 해도 빵집 아이들에게 밥은 귀한 음식이었다. 궁핍했던 시절, 언감생심 누가 빵집 가는 것을 꿈꿨겠는가. 그러니 빵집 주인 역시 가난할 수밖에.
얼마 전 동네에 ‘묘한 빵집’이 생겼다. 싸고 맛있다는 입소문을 타고 문전성시다. 고상한 인테리어와는 거리가 먼 옛날 찐빵집 같은 분위기, 좌판에 깔아놓은 이런저런 빵들…. 이게 다가 아니다. 꾀죄죄한 차림의 제빵사와 남녀 종업원. 같은 건물의 뚜레쥬르, 파리바게뜨와 달라도 이렇게 다를 수 있을까. 대부분 개당 500원. 1000원 넘는 빵을 구경하기가 어렵다. ‘착한 빵값’이다. 그래서 의문이 든다. 이래가지고 비싼 임대료를 감당할 수 있을까, 바로 옆 빵집(대기업 체인점) 사장 아이들은 또 다른 A씨의 친구처럼 되지 않을까.
최용규 논설위원 ykchoi@seoul.co.kr
얼마 전 동네에 ‘묘한 빵집’이 생겼다. 싸고 맛있다는 입소문을 타고 문전성시다. 고상한 인테리어와는 거리가 먼 옛날 찐빵집 같은 분위기, 좌판에 깔아놓은 이런저런 빵들…. 이게 다가 아니다. 꾀죄죄한 차림의 제빵사와 남녀 종업원. 같은 건물의 뚜레쥬르, 파리바게뜨와 달라도 이렇게 다를 수 있을까. 대부분 개당 500원. 1000원 넘는 빵을 구경하기가 어렵다. ‘착한 빵값’이다. 그래서 의문이 든다. 이래가지고 비싼 임대료를 감당할 수 있을까, 바로 옆 빵집(대기업 체인점) 사장 아이들은 또 다른 A씨의 친구처럼 되지 않을까.
최용규 논설위원 ykchoi@seoul.co.kr
2012-02-14 3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