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전혀 알지 못하는 어느 출판사가 새로 출간했다며 책 한 권을 보내왔다. 책 제목이 와 닿았다. ‘너’였다. 한 단어가 주는 강렬함이 눈길을 사로잡았다. 발칙하다는 생각도 들었다. 글쓴이를 보니 정신과 의사였다. 본업보다는 방송에 더 관심이 많은 사람이라 호기심이 뚝 떨어졌다. 그래서 책상 한 귀퉁이에 쌓아 두었는데, 문득 책이 손에 잡혔다.
내용은 이랬다. 우리는 ‘나’에 대해 생각하는 것만으로도 벅차 ‘너’를 생각할 여유가 없고, 정작 사랑하는 사람의 마음조차 헤아리지 못하는 게 ‘나’라는 존재라는 것이다. ‘나’는 살기 위해 ‘너’라는 존재가 필요하고, ‘너’를 ‘나’만큼 알고 있어야 ‘나’가 살 수 있다고 했다. 인간 세상의 불통이 ‘너에 대한 무지’에 기인한단다.
김춘수의 ‘꽃’이란 시가 오버랩된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나는 너에게 너는 나에게/ 잊혀지지 않는 하나의 의미가 되고 싶다.
주병철 논설위원 bcjoo@seoul.co.kr
내용은 이랬다. 우리는 ‘나’에 대해 생각하는 것만으로도 벅차 ‘너’를 생각할 여유가 없고, 정작 사랑하는 사람의 마음조차 헤아리지 못하는 게 ‘나’라는 존재라는 것이다. ‘나’는 살기 위해 ‘너’라는 존재가 필요하고, ‘너’를 ‘나’만큼 알고 있어야 ‘나’가 살 수 있다고 했다. 인간 세상의 불통이 ‘너에 대한 무지’에 기인한단다.
김춘수의 ‘꽃’이란 시가 오버랩된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나는 너에게 너는 나에게/ 잊혀지지 않는 하나의 의미가 되고 싶다.
주병철 논설위원 bcjoo@seoul.co.kr
2012-01-17 3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