듣기에 따라 기분이 좋을 수도 있고, 언짢을 수도 있는 게 반말이다. 반말의 이중성이다. 윗사람이 아랫사람한테, 상사가 부하한테 하는 반말은 대개 무리가 없는 듯하지만 친밀도에 따라 정반대의 결과가 나온다. 왠지 불편하고 심기가 뒤틀려 관계가 서먹해지는 사례도 적지않다.
반말은 ‘끼리끼리’ 하는 게 편하다. 학교 동창, 군대 동기, 입사 동기, 사회 친구 등이 그런 사람들이다. 나이, 고향, 취미 등과는 무관하다. 뭔가 동질감을 느끼는 이들 간에 주고받는 반말 속에는 묘한 정감 같은 게 있다. 인지상정이다.
세상이 다 그런 건 아닌 모양이다. 얼마 전 사회적으로 영향력 있는 60대 A씨의 얘기가 그렇다. 한동안 대학 동기회에는 서로 존댓말을 썼다고 했다. 일종의 자존심 때문이라고 했다. 그런데 어느날 누군가가 “나이도 들어가는데 서로 높여주는 게 무슨 의미가 있느냐.”며 반말을 제의했다고 한다. 모두 박수를 쳤고 분위기가 좋아졌다고 한다. 나이가 들수록 삶의 활력소가 되는 것 가운데 반말도 빼놓을 수 없을 것 같다.
주병철 논설위원 bcjoo@seoul.co.kr
반말은 ‘끼리끼리’ 하는 게 편하다. 학교 동창, 군대 동기, 입사 동기, 사회 친구 등이 그런 사람들이다. 나이, 고향, 취미 등과는 무관하다. 뭔가 동질감을 느끼는 이들 간에 주고받는 반말 속에는 묘한 정감 같은 게 있다. 인지상정이다.
세상이 다 그런 건 아닌 모양이다. 얼마 전 사회적으로 영향력 있는 60대 A씨의 얘기가 그렇다. 한동안 대학 동기회에는 서로 존댓말을 썼다고 했다. 일종의 자존심 때문이라고 했다. 그런데 어느날 누군가가 “나이도 들어가는데 서로 높여주는 게 무슨 의미가 있느냐.”며 반말을 제의했다고 한다. 모두 박수를 쳤고 분위기가 좋아졌다고 한다. 나이가 들수록 삶의 활력소가 되는 것 가운데 반말도 빼놓을 수 없을 것 같다.
주병철 논설위원 bcjoo@seoul.co.kr
2011-10-14 3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