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인이 느닷없이 물었다. 언어목록이 뭔지 아느냐고. 고개를 갸우뚱하니 다른 사람과 소통은 잘하느냐며 핀잔을 준다. 인터넷을 뒤져봤다. 언어목록의 사전적 의미는 가나다순, 또는 사용 문자의 목록을 뜻한다고 돼 있다. 하지만 지인이 말한 언어목록의 의미는 달랐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사람마다 각자가 자주 쓰는 독특한 언어 영역이 있단다. 그 영역이 그 사람만의 언어목록이라는 것. 그런데 계층별, 남녀노소별로 구사하는 언어 영역은 천차만별일 터. 기성세대의 언어목록에는 한자나 진부한 단어 등이 두드러지고, 젊은 세대는 ‘인터넷 용어’가 많을 게다. 연령대와 학력, 직업, 성별, 지역, 성격, 기호 등의 정보가 가득 담겨 있는 게 언어목록이란 얘기.
그래서 누구와 소통을 하려면 그 사람에 대한 언어목록을 꼭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는 지인의 말에 고개가 끄덕여진다. 젊은 층과 대화할 때 노년층의 언어목록을 들이대서는 안 되는 것처럼. 소통에도 꽤 노력이 필요함을 일깨워준다.
주병철 논설위원 bcjoo@seoul.co.kr
그의 주장에 따르면 사람마다 각자가 자주 쓰는 독특한 언어 영역이 있단다. 그 영역이 그 사람만의 언어목록이라는 것. 그런데 계층별, 남녀노소별로 구사하는 언어 영역은 천차만별일 터. 기성세대의 언어목록에는 한자나 진부한 단어 등이 두드러지고, 젊은 세대는 ‘인터넷 용어’가 많을 게다. 연령대와 학력, 직업, 성별, 지역, 성격, 기호 등의 정보가 가득 담겨 있는 게 언어목록이란 얘기.
그래서 누구와 소통을 하려면 그 사람에 대한 언어목록을 꼭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는 지인의 말에 고개가 끄덕여진다. 젊은 층과 대화할 때 노년층의 언어목록을 들이대서는 안 되는 것처럼. 소통에도 꽤 노력이 필요함을 일깨워준다.
주병철 논설위원 bcjoo@seoul.co.kr
2011-01-27 3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