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당히 착하게 해주소서/저는 성인까지 되고 싶진 않습니다…/ 어떤 성인은 더불어 살기가 너무 어려우니까요….’ 수도자가 적당히 착하고 싶다니 참 인간적이다. ‘17세기 어느 수녀의 기도’의 한 구절이다. 마더 테레사 수녀의 힘든 삶을 돌아보면 금세 공감이 간다. 그동안 많은 잘못을 저질렀을 뿐 아니라, 앞으로도 잘못을 할 거라고 생각하면 더 위안이 된다.
제러미 리프킨의 근작 ‘공감의 시대’는 이제 경쟁과 적자생존이라는 패러다임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진단했다. 공감하는 능력, 즉 협력과 평등이 새 여명을 열고 있다는 것이다. ‘그래, 맞아. 전 지구적 생태 위기와 사회 양극화 위기를 벗어나는 길은 협력밖에 없어.’ 하고 중얼거린다.
그러다가 우리가 이기심을 이겨낼 수 있을까 자문한다. 너를 이겨야 내가 산다는 강력한 생존 본능이 뼛속 깊이 새겨져 있는데 공감 능력이 그보다 앞설 수 있을까. 그래, 쉽지 않아. 적당히 착하게 사는 게 쉬운 일이었으면 17세기 수녀의 기도가 지금까지 생명력을 이어 왔겠는가.
황진선 논설위원 jshwang@seoul.co.kr
제러미 리프킨의 근작 ‘공감의 시대’는 이제 경쟁과 적자생존이라는 패러다임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진단했다. 공감하는 능력, 즉 협력과 평등이 새 여명을 열고 있다는 것이다. ‘그래, 맞아. 전 지구적 생태 위기와 사회 양극화 위기를 벗어나는 길은 협력밖에 없어.’ 하고 중얼거린다.
그러다가 우리가 이기심을 이겨낼 수 있을까 자문한다. 너를 이겨야 내가 산다는 강력한 생존 본능이 뼛속 깊이 새겨져 있는데 공감 능력이 그보다 앞설 수 있을까. 그래, 쉽지 않아. 적당히 착하게 사는 게 쉬운 일이었으면 17세기 수녀의 기도가 지금까지 생명력을 이어 왔겠는가.
황진선 논설위원 jshwang@seoul.co.kr
2010-11-29 3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