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원에서 살고 싶다고 노래를 하던 친구가 충남 공주의 전원주택으로 드디어 이사를 갔다.남편의 직장은 대전이고 아이들은 서울에서 직장을 다니거나 대학에 다니고 있으니 가능한 일이었다. 지난 주말 가을 나들이 삼아 친구집에 놀러 갔다.
옆으로 금강이 흐르고 앞뒤로 산이 병풍처럼 펼쳐진 전원주택 단지에 자리잡은 그림 같은 집이었다. 잔디밭 한편에 흰색 티테이블을 놓았고, 베란다에는 바비큐 도구도 갖췄다. 친구는 직접 심어 가꾼 채소로 푸짐하게 샐러드를 만들고 감자 수프와 베이글로 근사한 브런치를 차려주었다. 전원살이가 너무 좋아 보인다고 했더니 친구는 “여기 온 지 두달 됐는데 벌써 도시생활이 그립다.”고 한다.
전원생활이 좋은 점도 많지만 손이 많이 가는 데다 불편한 점도 한두 가지가 아니란다. 대중교통이 연결되지 않아 각자 자가용은 필수고, 문화생활은커녕 두부 한모 사려 해도 공주까지 나가야 한단다. 그러면서 하는 말. “가장 이상적인 것은 전원주택에 사는 친구가 있는 거야. 너처럼.”
함혜리 논설위원 lotus@seoul.co.kr
옆으로 금강이 흐르고 앞뒤로 산이 병풍처럼 펼쳐진 전원주택 단지에 자리잡은 그림 같은 집이었다. 잔디밭 한편에 흰색 티테이블을 놓았고, 베란다에는 바비큐 도구도 갖췄다. 친구는 직접 심어 가꾼 채소로 푸짐하게 샐러드를 만들고 감자 수프와 베이글로 근사한 브런치를 차려주었다. 전원살이가 너무 좋아 보인다고 했더니 친구는 “여기 온 지 두달 됐는데 벌써 도시생활이 그립다.”고 한다.
전원생활이 좋은 점도 많지만 손이 많이 가는 데다 불편한 점도 한두 가지가 아니란다. 대중교통이 연결되지 않아 각자 자가용은 필수고, 문화생활은커녕 두부 한모 사려 해도 공주까지 나가야 한단다. 그러면서 하는 말. “가장 이상적인 것은 전원주택에 사는 친구가 있는 거야. 너처럼.”
함혜리 논설위원 lotus@seoul.co.kr
2010-10-20 3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