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말, 추석 연휴로 한동안 걸렀던 우면산을 찾았다. 며칠 전 내린 폭우에 휩쓸린 잔해를 목격했다. 등산로 주변의 계곡은 본래 형체를 알 수 없을 만큼 움푹 패어 있었고, 약수터의 지붕도 처참하게 부서져 나뒹굴고 있었다.
정작 놀랄 일은 따로 있었다. 비바람과 물길이 쓸고 간 계곡 주변에서 유독 소나무·전나무 등 토종들은 건재하지 않은가. 아카시아 등 외래종들이 뿌리째 뽑혀 쓰러져 있는 것과는 대조적이었다. 비옥한 토양에서 자라는 외래종들이 잎은 무성하지만 뿌리가 의외로 얕기 때문이란다. 반면 척박한 환경에 익숙한 재래종들이 뿌리를 깊이 내린다는 얘기다. ‘뿌리깊은 나무는 바람에 아니 흔들린다.’는 용비어천가의 구절이 생각났다.
이는 신세대들의 교육에도 적용돼야 할 명제일 듯싶다. 각고와 인내를 통해서만 동량으로 자랄 수 있다는 뜻에서다. 문득 “생선이 소금에 절임을 당하고 얼음에 냉장을 당하는 고통이 없다면 썩는 길밖에 없다.”던 정채봉 시인의 시구가 떠오른다.
구본영 수석논설위원 kby7@seoul.co.kr
정작 놀랄 일은 따로 있었다. 비바람과 물길이 쓸고 간 계곡 주변에서 유독 소나무·전나무 등 토종들은 건재하지 않은가. 아카시아 등 외래종들이 뿌리째 뽑혀 쓰러져 있는 것과는 대조적이었다. 비옥한 토양에서 자라는 외래종들이 잎은 무성하지만 뿌리가 의외로 얕기 때문이란다. 반면 척박한 환경에 익숙한 재래종들이 뿌리를 깊이 내린다는 얘기다. ‘뿌리깊은 나무는 바람에 아니 흔들린다.’는 용비어천가의 구절이 생각났다.
이는 신세대들의 교육에도 적용돼야 할 명제일 듯싶다. 각고와 인내를 통해서만 동량으로 자랄 수 있다는 뜻에서다. 문득 “생선이 소금에 절임을 당하고 얼음에 냉장을 당하는 고통이 없다면 썩는 길밖에 없다.”던 정채봉 시인의 시구가 떠오른다.
구본영 수석논설위원 kby7@seoul.co.kr
2010-10-01 3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