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광장] 풍수의 명예를 위하여/서동철 논설위원

[서울광장] 풍수의 명예를 위하여/서동철 논설위원

서동철 기자
서동철 기자
입력 2023-07-28 01:16
수정 2023-07-28 01: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기후변화에 ‘안전한 집’ 더 선호
‘풍수는 미신’ 인식 안타까워
차제에 한국 풍수 현주소 점검해
‘공동체 위한 학문’ 고민 이어져야

이미지 확대
서동철 논설위원
서동철 논설위원
최근 여의도 정치권의 갖가지 논쟁 가운데 가장 가슴 아픈 대목은 ‘풍수(風水)는 곧 미신’이라고 아예 등식을 만들어 공격하는 모습이다. 후손의 발복(發福)을 바라며 묫자리를 고르는 이른바 음택풍수(陰宅風水)는 개인적으로 관심도 없지만 조만간 재벌이나 권력자가 아니면 언급할 필요도 없는 분위기가 될 수밖에 없다. 완고하던 장례 풍습이 급속히 바뀌면서 망자(亡者)를 화장해 납골당에 모시는 보통 사람들에게는 이미 묫자리라는 단어 자체가 쓸모없어지지 않았나.

하지만 양택풍수(陽宅風水), 곧 산 사람의 집자리 고르기는 갈수록 더욱 중요해질 수밖에 없다. 기후변화에 따른 기록적 폭우로 많은 피해가 빚어진 상황에서 산사태에 휩쓸린 바로 그 자리에 다시 집을 지어 또 다른 피해를 부르는 방식의 수해 복구는 당연히 없어야 한다. 그러니 오늘날의 풍수이자 지관(地官)은 안전한 집터를 찾아 주고 새로운 집을 지을 수 있도록 행정적 지원도 아끼지 않는 존재여야 한다. 정부가 그런 역할을 해야 한다.

풍수가 장풍득수(藏風得水)의 줄임말이라고 어렵게 설명하는 사람들이 있다. 바람을 갈무리하고 물을 얻는 명당(明堂)을 찾는 게 풍수라는 것이다. 좋은 땅을 찾는 방법을 일종의 학문으로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이런 주장이 나왔겠지만 알 것 같기도 하고 모를 것 같은 소리로 들리는 것은 필자 한 사람만이 아닐 것 같다. 그보다 풍수는 글자 그대로 바람과 물이라는 주장이 훨씬 설득력 있다. 풍수란 하늘과 땅의 생기(生氣)를 얻는 기법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상식적으로 생각해도 그 생기라는 것은 땅이 필요한 주체가 누구냐에 따라 크게 다를 수밖에 없다.

정치권의 풍수 논쟁 속에서 “지금이 조선시대냐”는 목소리가 들린 것은 그래서 더욱 섭섭하다. 조선이 감언이설과 혹세무민에 국정이 좌지우지된 사이비 풍수의 시대라는 주장은 자신의 무지를 만천하에 드러낼 뿐이다. 조선왕조가 풍수를 과학으로 접근했다는 것은 개성에서 출범한 조선왕조가 한양을 새로운 수도로 정하고 국가의 핵심인 궁궐과 정부청사거리를 앉힌 과정을 보면 알 수 있다.

한양에 도읍하면서 풍수지리 논쟁이 적지 않았다는 것은 모르는 사람이 없다. 한마디로 국가의 안전과 미래지향적 발전을 도모하는 풍수세력이 개인의 생기를 우선시하는 풍수세력을 눌렀다고 본다. 그 결과가 북악산 아래 경복궁을 짓고 그 남쪽으로 육조거리를 조성한 오늘날의 모습이다. 북쪽은 북악이 가로막고, 동쪽과 서쪽에서는 중학천과 인왕동천이 청계천으로 합류하면서 자연 해자를 이루는 천혜의 안전지대에 국가 중요 시설을 한데 모은 것이다. 광복 이후 우리 손으로 중학천과 인왕동천을 복개하면서 풍수적 의미가 감춰졌을 뿐이다.

그럼에도 경복궁이 좋은 자리가 아니고 청와대는 더더욱 악지(惡地)라는 일부의 주장은 유감스럽다. 청와대의 역대 주인들이 그다지 행복하지 않았고 불행을 겪기도 했지만 그동안 국가는 줄기차게 발전했다. 대통령의 집무 공간이자 거주 공간이었던 청와대가 좋은 땅이 아니었다면 세계가 주목하는 나라가 된 것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지 묻고 싶다. 청와대가 대한민국을 부흥시킨 길지(吉地)라는 사실은 결과가 증명한다. 국민 전체가 아닌 몇몇의 불운을 두고 나쁜 땅으로 인식하는 것 자체가 공동체를 위한 학문으로 풍수의 발전 가능성을 막고 있다.

풍수 논쟁이 입씨름에 그치지 말고 우리 풍수의 현주소를 점검하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 무엇보다 대학에서 가르치는 풍수는 공동체의 안전과 발전을 위한 학문이라는 각오를 다졌으면 좋겠다. 그렇게 ‘풍수는 미신’이라는 목소리가 설자리를 잃게 만들어야 한다. 지금도 대학교수 타이틀을 달고 공동체가 아닌 개인 발복을 위해 집자리를 보러 다닌 사례는 없었을 것이라고 믿는다.
2023-07-28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