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광장] 코로나와 함께 살기/임병선 논설위원

[서울광장] 코로나와 함께 살기/임병선 논설위원

임병선 기자
입력 2021-08-03 20:14
수정 2021-08-04 00: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임병선 논설위원
임병선 논설위원
섣부른 감이 있지만 논의의 물꼬를 틀 때가 다가오고 있다. 근래 적지 않은 이들이 입에 올리기 시작한 ‘코로나와의 공존’이다.

지금껏 우리 정부와 방역 당국은 ‘K방역’의 성과 위에 백신 접종의 효과가 얹어지면 코로나19를 극복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갖고 있었다. 하지만 4차 대유행이 시작하면서 불과 3~4주 만에 델타 변이가 젊은층에게 빠르게 번져 우세종으로 자리잡고, ‘돌파 감염’마저 상당수 발견되면서 잘못된 생각이었음을 뒤늦게 깨닫고 있다.

팬데믹 초기부터 일부 전문가들은 ‘집단면역’은 환상이라고 지적했다. 인구의 70~80%가 백신 접종을 마치면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체계가 형성돼 자유로운 일상으로의 복귀가 가능하다는 것은 신기루라고 경고했다. 반도체칩이 내장돼 있다는 식의 허황된 주장을 늘어놓는 이들과는 다른 주장이었다. ‘자연 면역’이 최선이며 백신은 대중의 거대한 착각을 낳을 뿐이라고 주장했는데 각국 정부는 새겨듣지 않았다.

독일, 이스라엘, 미국, 싱가포르처럼 백신 접종이 원활했던 나라들이 방역 수칙을 이완했다가 호된 대가를 치르고 있다. 영국은 봉쇄를 푼 뒤에 확진자 발생 추이가 꺾였지만, 장기적으로도 그럴지는 자신하지 못한다.

어느 쪽이 잘했느냐의 문제가 결코 아니다. 인류는 한 번도 상대하지 못한 적과 마주하고 있는데 때로는 너무 자신 있어 하거나, 때로는 너무 겁을 내고 있을 뿐이다. 백신을 제대로 만들려면 10년이 걸리는데 우리는 1년 만에 나온 백신을 너무 믿었다.

진짜 문제는 이렇게 사회적 거리두기를 조였다 풀었다 하는 식으로 언제까지 살아갈 수 있겠느냐는 것이다. 사람들은 이미 백신에 대한 환상을 거두고 있다. 중증이나 사망에 이를 정도만 아니라면 감염돼도 괜찮다고 여기게 됐다. 가게 문을 잠그고 술을 마시는 이들을 반사회적 분자로 몰아세우는 일도 한계에 부닥치고 있다. 가장 근본적인 것은 이 바이러스를 완벽하게 피하는 일은 불가능하다고 많은 이들이 느낀다는 것이다. 해서 확진자를 0으로 만들겠다고 덤비는 대책으로는 안 된다고 생각하기 시작했다.

데일 피셔 싱가포르국립대 의대 교수는 “이제 사람들에게 ‘많은 확진자를 안고 갈 것’이라고 말할 필요가 있다. 그게 계획의 일부가 되고 있다. 우리는 그냥 내버려 둬야 한다”고 말했다. “늑대가 나타났다”고 외치면 처음에는 고개를 돌렸는데 서너 차례 반복되니 고개를 돌리지 않더란 것이다. 주위에는 “‘이번 주말이 고비’란 경고를 얼마나 자주 들어 왔나. 지긋지긋하다”고 말하는 이들이 많다.

중소상공인이나 자영업자들이 한계에 내몰려 있어서이기도 하다. 별로 과학적이지도 않은 논리를 내세워 자영업자들에게만 감내하기 어려운 희생을 강요해 온 것이 부인할 수 없는 현실이다. 콘서트나 뮤지컬에 수천 명이 운집하는데 왜 식당에 오후 6시 이후 둘 이상 모이면 안 된다는 것이냐고 반문하면 답이 궁색해진다. 자영업자가 워낙 많아 산업구조가 기형적인 것도 업주들의 잘못이 아니다. 봉쇄하고 보상하는 식으로 언제까지 버틸 수 있겠는가?

반박도 적지 않다. 뉴질랜드 오타고대학 감염내과의 마이클 베이커 교수는 일상회복으로 가는 지름길을 택한 나라들이 접종을 마치지 않은 시민의 목숨을 걸고 도박을 하는 것이라고 경고했다. 아직도 우리는 이 바이러스에 대해 충분히 알지도, 배우지도 못했다는 것이다. 과학자들은 감염됐다가 완치된 이들이 앞으로 어떤 모습을 보일지, ‘롱 코비드’(long COVID)를 이해하지 못한다고 지적한다. 따라서 독감처럼 여기고 내버려 두자고 하는 것은 위험하기 짝이 없다고 덧붙였다. 지금의 백신이 제공한 면역력이 얼마나 지속될지, 변이로부터 얼마나 보호해 줄지도 우리는 확신하지 못하고 있다.

공존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쪽이나 아직은 이르다는 쪽이나 ‘우리가 모른다’는 것에는 일치한다. 따라서 당장은 4차 대유행을 가라앉히는 데 힘을 모아야 한다. 거리두기와 백신 말고 유효한 수단이 없다는 것도 명확하다.

지난달 하순 한 공중파 토론 프로그램에 출연한 권준욱 국립보건연구원장, 이재갑·정재훈 교수 등은 50대까지 접종이 완료되는 시기에 조심스럽게 논의를 시작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관리할 수 있는 범위에서 방역의 고삐를 최소화하고 ‘확진자 억제’에서 ‘중증 위험군 관리’로 무게중심을 옮겨 가자는 것이다. 한발 나아가자면 내년 대통령선거에 나서는 이들이 이런 논의를 주도하는 것이 마땅하며 필요한 일이다.
2021-08-04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