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락 논설위원
미국 등 민주주의 사회에서 대변인의 역할은 크다. 대통령의 이미지를 대변하는 대리인이기 때문이다. 분신이나 마찬가지다. 실제로 청와대 대변인 출신 정치인은 “청와대에 들어가 보니 홍보 업무가 청와대 업무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고 고백했다. 대통령과 청와대가 가지고 있는 가장 큰 무기는 마이크다. 대통령이 원하면 언제든지 TV로 생중계한다. 대통령의 메시지는 신문 지면이나 TV뉴스보도의 헤드라인을 장식한다. 이런 정부 정책과 메시지를 통제하고 관리하는 사람이 대변인이다. 24시간 언론에 노출돼 대통령의 국정철학과 정부의 정책을 끊임없이 홍보하고 방어해야 한다. 이런 점에서 국민은 청와대 대변인을 대통령과 동일 선상에 놓고 본다. 청와대 대변인이 도덕성에 흠결이 있게 되면 대통령의 정당성 자체가 훼손되는 이유다.
이번 김의겸 전 청와대 대변인의 부동산 투기 의혹은 청와대에 엄청난 내상을 입혔다. 청문회를 치른 7명의 장관 임명을 앞두고 야당과의 힘겨루기에서 절대로 물러서지 않으려 했던 청와대도 김 전 대변인의 의혹이 터지자 비슷한 문제가 제기된 2명의 장관 후보자를 가차없이 날려 버렸다. 청와대 대변인은 1급에 불과하지만, 장관 2명의 몫 이상의 비중이 있다는 점을 대변한 셈이다. 워낙 중요한 자리라 역대 청와대 대변인들도 평균 수명이 1년 2개월에 불과했다.
비슷한 이유로 후임 대변인 선임도 쉽지 않아 보인다. 윤도한 국민소통수석은 대통령에 대한 홍보기획과 전략을 짜는 자리라는 점에서 대변인과 역할이 다르다. 청와대 대변인은 대부분 언론계 출신이 맡아 왔다. 김 전 대변인도 한겨레신문 기자 출신이다. 하지만 대변인은 단순히 언론계 경력으로는 감당할 수 없는 자리다. “대통령의 숨소리까지 알아야 한다”고 말할 정도로 대통령과 통치 철학과 정치적 기반 등 DNA가 같아야 한다. 어떤 현안이 닥치더라도 대통령이 품고 있는 생각을 언론에 그대로 전달할 수 있는 순발력을 갖춰야 한다. 지침을 받지 않고도 대통령의 말을 80% 정도는 얘기할 수 있는 재량권도 있어야 한다. 출입처의 보도자료를 그대로 베끼는 무능한 기자처럼 일하는 대변인은 하급이다.
그래서 청와대 내에서 적임자를 찾을 수 있겠다. 하지만 대변인은 대통령의 생각을 언론을 통해 국민에게 전달하고, 청와대 밖의 국민의 소리를 대통령에게 전달해야 하는 자리라는 또 다른 측면이 있다. 청와대 내에서 야당이자 이중 스파이 역할도 해야 한다. 때문에 ‘구중궁궐’에 갇혀 있던 내부 사람이 덜컥 맡기에는 소통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기존의 명령 체계를 하루아침에 무시하고 반대 목소리를 내기도 쉽지 않다. 어떤 정권이든 청와대 내에서는 교묘한 역학 관계가 흐르는 암투가 있기 때문에 선뜻 특정 계파의 손을 들어 주기도 여의치 않다.
그럼 어떤 인물이 후임자로 적합할까. 김대중(DJ) 정부에서 대변인으로서 누구보다 뛰어난 정치적 역량을 발휘했던 박지원 민주평화당 의원은 “대변인은 대통령의 국정철학을 대변하기 때문에 절대로 언론과 충돌하지 않는 인물이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대변인은 기자 앞에서 대통령의 대변인으로 서는 것이지, 언론사 선배로 서는 게 아니라는 점도 강조했다. 윤창중 ·김의겸 전 대변인처럼 기자들을 가르치려 해서는 안 된다고 덧붙였다.
‘노무현의 필사’ 윤태영 전 대변인은 “대통령의 철학과 생각을 제일 잘 알고 정확하게 전달하는 사람이 필요한 시점이어서 대통령과 철학을 공유한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언론인의 발탁은 적절해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윤 전 대변인은 다소 거친 표현을 잘하던 노 전 대통령의 발언을 감성적으로 풀어서 전달하는 능력이 탁월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명박 정부의 이동관 전 대변인은 “청와대 대변인은 정쟁에 앞장서는 정당 대변인과 다르다. 대통령을 정쟁의 장으로 끌어들이지 않는 사람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래저래 문재인 대통령과 노영민 비서실장의 고민이 깊어질 듯하다.
jrlee@seoul.co.kr
2019-04-03 3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