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광장] “네 팔 네가 흔들라”는 교육 견디기/황수정 논설위원

[서울광장] “네 팔 네가 흔들라”는 교육 견디기/황수정 논설위원

황수정 기자
황수정 기자
입력 2015-11-13 17:10
수정 2015-11-14 00:2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역사 교과서 국정화 혼란이 나쁜 이유는 많다. 다른 모든 현안을 명함도 못 꺼내게 덮어 버린다. 이것이 나쁜 이유들 중 ‘갑’이다. 몇 달째 그 기세에 눌려 납작 엎드린 정책이 교육 현장에도 많다. ‘올바른’ 역사 교육 명분 하나 챙기자며 갈 길 바쁜 교육 현안들에는 수면제를 먹인 꼴이다. 안됐지만 입바른 소리를 해야겠다. 내신을 따고 생활기록부에 적힐 스펙까지 챙기느라 정신없는 아이들에게 역사 교과서는 별 의미 없다. 그 출신 성분은 더더구나 중요하지 않다. 그들의 유행어를 빌리자면 “알 바야(알게 뭐야)?”다.

이미지 확대
황수정 논설위원
황수정 논설위원
자주 다니는 길목에 일주일에 두 번쯤 푸드 트럭이 온다. 다코야키를 구워 파는 주인장은 청년이다. 합법 영업은 아닐 텐데 씩씩한 모습이 괜히 고맙다. 필요한 양보다 두 배쯤 많이 사주는 게 내 고마움의 표시다. 왠지 그래야 할 것 같아서다.

엊그제 수능시험이 있었다. 수험생들에게 온종일 대한민국의 시계는 맞춰졌다. 듣기평가 시간에는 일상이 멈췄다. 비행기 이착륙, 트럭 운행, 공사 현장도 소리 내지 못하게 묶었다. 입시 지옥과 기형적 통과의례의 고단함을 위로해 주는 우리만의 제스처다. 시험에서 해방됐다며 웃는 아이들 얼굴이 안쓰러웠다. 명문대생들 사이에서조차 “어차피 치킨집 할 건데”라는 자조가 유행하는 현실이다. 입시 지옥 너머 취업 지옥. 우리가 해줄 수 있는 마지막 선물이 수능일의 배려다.

수능시험과 다코야키 트럭. 입시 전쟁을 뚫은 어린 청춘들에게 사회는 뾰족한 비전을 주지 못한다. 몇 년 뒤라면 사정이 나아져 있을까. 20대 임금노동자 중 절반에 가까운 비정규직 비중은 달라질까. 청년 실업은 개선될까, 푸드 트럭에 눈길을 주지 않아도 될 만큼?

시작부터 말 많았던 자유학기제가 끝나 간다. 전국의 중학교 70%에서 1학년을 대상으로 올해 시범 시행한 제도다. 한 학기 동안 지필고사를 없애 여유 있게 적성과 장래 직업을 탐색하게 한다는 취지다. 학력이 떨어질 거라는 우려만큼은 기우였다. 주요 과목의 수업 시간은 학교들이 요령껏 다 채웠고, 지필 시험을 안 본다고 학원을 끊는 아이도 없었다. 학원가는 오히려 물 만났다. 부족한 부분을 보충해 주고 더 꼼꼼히 선행학습을 시키는 마케팅이 빛을 발했다. 진로를 찾게 다양한 직업체험을 하게 하자는 교육 목표에는 정작 ‘내용’이 뒷받침되지 않았다. 소방관, 디자이너, 요리사 등 예측 가능한 직업 세계를 건성으로 훑은 게 고작이다.

대통령 공약인 자유학기제는 내년부터 전국 모든 중학교로 확대된다. 맹탕 같은 프로그램을 왜 밀어붙이는지 의문스러운 학부모들이 많다. “어차피 다음 정부에서 폐지될 정책이니 교육부가 대통령 눈치만 살핀다”는 말도 나온다. 의심받을 여지는 많다. 지속 가능한 제도로 정착시킬 의지가 있었다면 얼마 전 새 교육과정 개편안에 반영했어야 했다. 진로체험 활동으로 공백이 생기는 교과 과정을 어떻게 보완할지 논의됐어야 한다. 수업 시간에 건너뛰는 과정은 내년에도 학생들이 능력껏 해결해야 한다. 사교육을 줄이자면서 눈짓으로는 “네 팔은 네가 알아서 흔들라”고 주문하는 격이다. 중요한 문제가 국정 교과서 논쟁 뒤에 숨어 어물쩍 넘겨졌다.

중·고교 과정의 한 학기를 지필 시험 없이 넘기는 것은 사소한 정책이 아니다. 대입행 과열 열차를 잠시 정차시키는 작업이니 파격 실험이다. 자유학기제의 수명이 얼마 남았을지는 별개의 문제다. 기왕의 실험에서 유의미한 결과물은 없었는지 점검할 필요가 있다. 이 과정을 체험한 학부모로서 당장 하고 싶은 제언이 있다. 살인적 학습량의 주범인 수행평가를 전 학년에 걸쳐 크게 줄이거나 없애 보자는 것이다. 수행평가 과제가 사라진 자유학기제에 적어도 아이들은 인터넷에서 자료를 베끼느라 새벽잠을 설치지는 않았다. 잘 베껴 가기만 하면 되는 무의미한 숙제를 엄마들이 대신해 주는 뻘짓은 하지 않아도 됐다. 불필요한 학습량 줄여 주기가 교육정책의 기본 아닌가.

결국 문제는 소통이다. 교육부가 현장의 이야기를 들어줘야 한다. 학기가 끝나가는데도 시범 자유학기제의 소감을 물어보는 설문지 한 장 오지 않는다. 바른 역사 교육을 받지 못해 혼이 비정상이 되는 것과 부표(浮標) 없는 정책에 제 팔 제가 흔드느라 숨이 넘어가려는 것. 어느 쪽 치료가 더 급할까.

sjh@seoul.co.kr
2015-11-14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