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구 논설위원
“기가 막힙니다. 21세기 최첨단 사회에 가족들이 65년 만에 겨우 만나, 12시간 만에 또다시 기약 없는 이별을 해야 한다는 현실. 그것도 인터넷 등 각종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전 세계인과 소통한다는 대한민국 땅에서 펼쳐지는 현상이라니….”
금강산에서 진행된 남북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지켜본 국민들의 심경을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 70세가 다 된 아들과 딸들이 난생처음 아버지를 만나 울부짖고, 동생은 누나를 보자마자 “누나 왔다”며 두 손을 치켜들고 만세를 부르듯 절규하는 장면은 눈물 없이는 볼 수 없었을 것이다. 작별을 앞둔 딸이 구순에 가까운 아버지의 목소리를 기억해야 한다며 노래를 불러 달라고 하자 눈물을 참아 가며 ‘애수의 소야곡’을 부르는 아버지의 모습에 가슴 아파하지 않은 국민이 있었겠는가.
누가, 왜 그들을 저토록 아프게 만들었을까. 화가 치밀다가도 원인과 현실을 생각하면 금방 맥이 풀린다. 누구를 탓하기에도 지쳤고, 희망을 가져 달라 말하기조차 어려울 정도로 많은 좌절을 지켜봐 왔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이런 짧은 만남조차 포기할 수도 없다. 가족이기에 언젠가는 만날 수 있겠지 하는 희망의 끈을 놓으라고 말할 수는 없다. 60년이 넘는 이별의 아픔을 겪고 있는 가족이 아직도 6만 6000여명에 이른다고 하니 만남의 행사라도 이어 가야 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 그 만남의 기회조차 잡기가 너무 어려워 이산가족뿐만 아니라 온 국민의 애간장을 태운다.
남북 이산가족 상봉 행사는 2000년 8·15를 시작으로 그동안 20번 열렸다. 연평균 1.3회꼴로 열려 지금까지 4500여 가족, 2만 2700여명이 상봉 또는 생사 확인으로 잠시나마 기쁨을 찾았다. 하지만 아직도 만나야 할 가족은 더 많이 남아 있다. 이번엔 두 차례에 걸쳐 겨우 남북 180여 가족만이 만남의 기회를 얻었다. 더욱 안타까운 것은 통일부에 등록된 남측 상봉 신청자(9월 말 기준) 13만 409명 가운데 49%인 6만 3921명이 이미 세상을 떠났다는 사실이다.
꿈에도 그리던 가족을 이 세상에서는 영영 볼 수 없게 된 것이다. 남은 생존자들조차 고령으로 내일을 기약하기 어렵다고 하니 지켜보는 국민들의 마음은 착잡하기 그지없다. 생존자 중 70세 이상이 81.4%에 이른다. 지금의 방식으로는 남은 이산가족의 한 맺힌 응어리를 풀어 줄 수가 없는 실정이다.
결국은 남북의 정치 지도자와 온 국민이 힘을 합쳐 풀어 내야 할 이 시대의 과제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8·15 경축사에서 “이산가족 문제만큼은 아무리 정세가 어렵고 이념이 대립한다고 해도 인도적 견지에서 해결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정은 북한 국방위 제1위원장도 “8·25 합의를 소중히 가꾸고 풍성한 결실로 가꾸자”고 한 바 있다. 남북 최고지도자들의 발언이 빈말이 되지 않도록 두 눈을 부릅뜨고 지켜봐야 한다. “유엔 등 국제사회에 이산가족의 실상을 제대로 알리고 도움을 요청할 필요가 있다”는 이북도민회와 이산가족위원회 등의 주장에도 귀 기울일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절실한 것은 우리 정부의 끈질긴 노력이다. 설령 쇠귀에 경 읽기가 될지언정 이산가족 상봉 행사의 정례화를 꾸준히 요구해야만 한다. 박 대통령이 광복 70주년 경축사에서 제안한 전체 이산가족 명단 교환과 수시 만남도 끈질기게 설득하고 관철해야 할 사안이다. 독일 통일은 서독 정부가 지속적이면서도 유연한 이산가족 교류 정책을 꾸준히 유지해 온 결과였다는 것을 한시도 잊어서는 안 된다. 중국과 대만은 1978년 맺은 3통(通商, 通航, 通郵) 합의를 바탕으로 1987년부터 이산가족들이 마음대로 상호 방문할 수 있게 됐다. 여기에 독일과 중국처럼 이산가족의 염원은 꼭 풀어 줄 수 있으리라는 국민적인 믿음 또한 중요한 요인이 될 것이다.
베를린의 브란덴부르크문 인근에는 ‘동베를린의 아들을 애타게 부르는 어머니의 상’이 있다고 한다. 우리 국민의 염원은 그보다 몇 곱절은 더 간절할 것이다. “우리는 한 민족이다”며 베를린 장벽을 무너뜨리던 그 모습을 휴전선에서도 볼 수 있으리라 믿는다. 아버지와 딸이 애수의 소야곡을 다시 함께 부를 수 있을 그날이 빨리 오길 기원한다.
yidonggu@seoul.co.kr
2015-10-24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