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수정 논설위원
요령부득의 정책을 접겠다니 일단 한숨은 돌렸다. 하지만 조변석개(朝變夕改) 교육 방침에 이골이 난 학부모들은 긴장을 풀 수 없다. 인성교육진흥법이 시행된 마당이다. 학생 인성 교육을 위해 교육부 장관이 5년마다 관련 종합계획을 수립한다는 게 법의 골자다. 황우여 장관보다 더 현실 감각이 떨어지는 장관이 다시 나오지 말라는 보장이 없다.
요즘 아이들에게 인성 교육은 절실한 문제다. 그렇다고 바늘 허리에 실을 묶어 쓸 수는 없다. 인성은 시간을 두고 다듬어야 하는 훈육의 영역이지 속성 효과가 나타나는 교육의 범주에 애당초 있지 않았다. 인성 등급을 올려주겠다며 한 달에 수십만원씩 받는 학원이 이미 성업 중이다. 인성평가의 입시 반영 철회를 발표했지만 학원들은 문 닫을 것 같지 않다. 미련이 남았는지 교육부는 앞으로 교대와 사범대 입시에서는 인성 항목이 반영될 수 있도록 어떻게든 유도하겠다는 입장을 비친다. 어째서 교육부는 죽을 꾀만 내는지 알 수 없다. 중고생 자녀를 둔 엄마 몇한테만 물어도 빤히 답이 나올 일인데, 대체 누구를 붙들고 정책을 입안하는지 이젠 알고 싶지도 않다.
백번 천번 고민해 돌다리도 두들겨 만든 교육 정책이어야 동의를 얻는다. 무너질 걱정 없는 정책 마당 위에서 아이들은 활개를 칠 수 있다. 우리 상황은 완전히 거꾸로다. 이상과 현실의 거리가 얼마인지 실험하듯 툭툭 던져진 정책들은 아니면 말고 식이다. 이런 딱한 제도가 한둘이 아니다. 당장 2학기부터 시행되는 자유학기제 역시 학생, 학부모들에게는 오리무중 정책으로 통한다.
자유학기제는 대통령의 핵심 교육 공약이다. 중학교 과정의 한 학기라도 학생들에게 시험부담을 덜어 줘 꿈과 끼를 찾게 하겠다는 취지다. 올해 전국의 중학교 70%에서 1학년을 대상으로 시범 시행한 뒤 내년부터 모든 중학교로 확대하는 프로그램이다. 일찌감치 적성에 맞는 진로를 찾게 다양한 체험의 시간을 주자는 취지는 훌륭하다. 그러나 얼마나 실효가 있을지는 시작부터 회의적이다. 무엇보다 학부모, 학생들이 제도의 내용에 깜깜하다. 학생들에게는 지필고사를 보지 않는다니 그저 ‘신나는’ 시간이고, 학부모들에게는 학습 공백은 어떻게 메우는지 ‘알 수 없는’ 시간이다. 더 문제는 학교 선생님들조차 잘 모른다는 사실이다. 지난주 아이 학교의 설명회를 들렀다. 자유학기제 체험 프로그램을 담당한 교사는 엄마들에게 이것저것 설명하다 결국 “우리도 멘붕”이라며 고충을 털어놓았다. 한 학기를 채워야 하는 백지 상태의 프로그램을 고작 네댓 달 만에 준비하기는 역부족일 수밖에 없다. 일선 학교들의 고충과 혼란이 이만저만 아니다. 주요 과목의 수업 일수는 최대한 손대지 않으면서 정책의 입맛에 맞추는 프로그램을 눈치껏 짜고 있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대통령 공약에 꿰맞추느라 엉뚱하게 아이들만 이중고를 겪는 건 아닐지 걱정된다. 방학을 맞은 학원가가 벌써 심상찮다. “자유학기제를 어떻게 보내느냐에 따라 실력 차가 하늘과 땅으로 벌어질 것”이라는 엄포를 놓는다. ‘자유학기제 집중 특강’을 내세운 프로그램들이 줄줄이 나와 있다. 자칫 또 공교육만 놀게 될 판이다.
뭘 어떻게 해야 하는지 방도를 제시하지 못하는 교육 정책은 학생들에게 불행이다. 차라리 그냥 두면 똑똑해질 아이들을 엉거주춤 바지저고리로 주저앉힌다. 고작 한 학기에 소방관 체험이나 토론수업 몇 시간 한다고 여유 있게 꿈을 찾을 수 있다는 계산은 어떻게 나왔을까. 입시 성적을 매기면 인성이 훌륭해질 거라는 발상과 똑같이 순진하다. 학생들의 진로 탐색에 진심으로 도움을 주겠다면 교육부는 당장 특별위원회라도 만들어 제대로 된 직업사전부터 갖춰 주는 일이 의미 있다. 적성을 고민해 보고 싶어도 미래 직업을 제시하는 안내서 한 권이 서점에 없는 현실이다. 실질을 챙기는 교육 정책이 아니라면 없는 편이 백번 낫다.
sjh@seoul.co.kr
2015-07-22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