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광장] 국악 앱 원조 개발자 의욕 꺾는 관제 창조경제/문소영 논설위원

[서울광장] 국악 앱 원조 개발자 의욕 꺾는 관제 창조경제/문소영 논설위원

입력 2013-08-10 00:00
수정 2013-08-10 00: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문소영 논설위원
문소영 논설위원
최영준 서울예대 디지털아트학과 교수는 재즈 피아니스트이지만, 국악 밴드 ‘오리엔탈 익스프레스’의 리더다. 앨범을 3장이나 내놓았다. 그는 2010년 국악 관련 애플리케이션 ‘가야금’(Gayageum)을 만들어 무료로 공개했다. 실제 가야금이 없어도 휴대전화로 앱을 다운받아 12개의 줄을 튕기면 옥구슬이 굴러가는 듯한 탱글탱글한 소리를 즐길 수 있다. 그해 앱스토어에서 KB국민은행에 이어 무료 다운로드 2위에 오를 정도로 인기 있었다. 최 교수는 이후 갤럭시용 가야금 앱과 사물놀이 앱 등을 내놓은 최초의 국악기 앱 개발자다. 또 그 앱을 탑재한 휴대전화들로 국악 연주회를 열어 화제도 모았다. 자신의 가야금 앱에, 이후 개발할 목적으로, 거문고와 피리·해금 등의 음원을 넣어둔 상태다. 그는 명지전문대 전자과를 졸업한 뒤 방송음악과 소프트웨어 개발자로 일하다가 1997년 미국 버클리음대에서 학사를, 2000년에 브라운대에서 미디어 아트로 석사학위를 취득했으니 꿈과 끼, ‘글로벌’이 결합된 창조인재의 원조 격이다.

또 다른 국악 앱 개발자도 있다. 서울대 작곡가 출신의 박재록 강사는 2011년 가야금 앱을 개발·출시했다. 두 사람의 앱은 서로 비슷하게 닮았지만 청출어람이라고 할까. 박재록의 가야금 앱에는 아리랑 등 악보를 얹어서 직접 가야금을 연주하는 듯한 즐거움마저 준다. 가야금 앱을 국내 최초로 시도했던 최 교수는 자신의 앱에 저작권을 걸지 않았다. 앱은 일반적 저작권 등록이 아니라 프로그램을 등록하는 것인데, 아이디어 도용을 방지하는 데 그다지 효과가 있지도 않을 것이라고 봤다. 200만원 하는 경비도 달갑지가 않았지만, 국악 관련 앱이 더 많이 나오기를 희망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자신의 앱과 거의 똑같은 박 강사의 앱이 나왔을 때 오히려 반가웠다. 국악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 선의의 경쟁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 것이다. 또 이른바 K팝 중심의 한류에서 벗어나 세계에 진짜 한국음악을 알려줄 기회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

지난해 한국콘텐츠진흥원(콘진원)에서 ‘국악’(Gugak)이란 앱에 3년간 6억원을 투자하기로 했고, 올 3월 첫 성과물로 가야금 앱을 내놓았다. 정부의 연구개발(R&D) 과제로 선정된 ‘국악기 음원 디지털 소스화 및 APP 개발과제’의 일환으로 문화부가 콘진원에 위탁해 진행하는 사업으로, 서울대 음악대학 예술과학센터가 참여했다. 이 사업의 진행에 앞서 최 교수는 지난해 문화부가 기술수요 조사를 요청하자 “가야금 앱 등 국악기 앱은 이미 시중에 민간 개발자들이 개발해 놓았으니 그들에게 맡기는 것이 맞다”는 의견을 제시했으나 받아들이지 않았다. 박 강사는 이 사업의 리더가 아니라 일원으로 참여했다.

창조경제의 기본은 아이디어이고, 이를 구현하려는 열정과 능력이 중요하다. 한국경제가 지난 40여년 선진국 따라잡기에 나서 패스트 팔로어(Fast follower)로서 성장을 이끌었다면, 이제는 도약을 위해 빌 게이츠나 스티브 잡스와 같은 퍼스트 무버(First mover)가 필요한 단계에 접어들었다. 창조경제를 강조하는 이유다. 국악 앱 개발의 사례처럼 정부가 나서서 개인의 아이디어와 결과물을 국가 프로젝트로 전환해서는 안 된다. 민간 개발자들이 스스로 성장시킨 영역을 지원하기는커녕 예산과 정책을 앞세워 숟가락을 얹고, 시장을 교란해서야 되겠는가. 이는 우월한 지위를 앞세운 ‘갑(甲)질’이라고 할 수 있겠다.

최근 KT계열사인 보안업체 KT텔레캅이 협력업체가 개발한 소프트웨어를 10여년간 무단 복제해 사용한 의혹을 한 언론이 제기했다. 또 정인모 카이스트 재학생은 자신이 개발한 가정통신문·알림장 앱을 서울시교육청이 아이디어를 도용해 사용한 문제를 얼마 전 현오석 경제부총리에게 호소했다.

정부와 공기업, 대기업이 개인이나 중소기업의 좋은 아이디어를 빼내 자기 실적으로 치환하는 나라에서 창조경제가 성공할 수는 없다.

symun@seoul.co.kr

2013-08-10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